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발효...제주 1차산업 피해 현실로...제주도 차원 체계적 대응책 마련 절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3-16 10:05:20      ·조회수 : 3,621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15일 0시를 기해 공식 발효됐다.


값싼 미국산 농산물이 대거 밀려 올 수밖에 없어 제주의 1차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예고되고 있지만 제주특별자치도의 대응체계는 허술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2007년 4월 협상 타결 이후 4년 10개월 만에 한미FTA가 오늘부터 공식 발효됐다. 이로써 한국의 전체 협상 대상 농산물의 32.8%인 636개 품목의 관세가 즉시 철폐됐다.


제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오렌지 관세는 현행 50%에서 비출하기(3~9월)에는 30%로 인하되고, 냉동 오렌지주스 관세는 즉시 철폐됐다. 감귤류 관세는 15년 내에 단계적으로 철폐된다.


축산물인 경우 쇠고기는 15년 내에, 돼지고기는 4~10년 내에, 닭고기는 10~12년에 걸쳐 관세가 폐지된다.
이처럼 주요 농산물의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되고 미국산 농산물이 밀려오면서 제주의 1차산업에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정부가 한미FTA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귤은 연평균 639억원의 생산 감소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고, 쇠고기와 돼지고기도 각각 연평균 2002억원과 1625억원의 생산 감소가 추산됐다.


지난달 제주발전연구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주요 농수축산물은 연평균 810억원의 생산 감소 피해를 입어, 15년간 총 1조2150억원의 피해가 예상되기도 했다.


이처럼 제주의 1차산업이 최대 위기에 봉착함에 따라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지만 제주도의 대응체계는 미덥지 못하게 사실이다.


제주도는 한미FTA 발효와 함께 이에 맞설 구체적인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다만 기존에 시행해 왔던 사업들을 계속한다는 방침만 제시하고 있다.


특히 FTA가 제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대응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용역이 최근 완료됐지만, 이를 바탕으로 한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으며, 용역 자체도 부실했다는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FTA 대응체계 역시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FTA로 인해 1차 산업에 큰 피해가 예상되고, 대응사업도 1차산업에 집중되고 있지만 정작 FTA 총괄은 수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수출진흥본부가 맡고 있다.


이 때문에 FTA 총괄 대책도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가 아닌 문화관광위원회에서 다뤄지면서 의회 내부에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FTA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정 전반의 역량을 모아야 하지만 수출진흥본부가 여러 실.국을 총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한미, 한중 등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FTA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별도의 전담조직 신설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문의 제주도 수출진흥관실 710-3831.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87 노지감귤 몸값 오르고 있다 1 기획정보과 2023-09-11 1318
1986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 생산량 45만2100톤 전망...제주시 착과량 뚝↓ 1 기획정보과 2023-09-04 1473
1985 감귤 열매까지 '쩍'.. 뜨거운 땅과 바다 1 기획정보과 2023-08-24 1504
1984 "산 함량 낮추는 관수 및 품질관리, 고품질 감귤 비율 높여" 1 기획정보과 2023-08-24 1470
1983 제주도, 풋귤에 농약 검사비·택배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8-18 1716
1982 제주 풋귤축제 1300명 몰리며 성료 1 기획정보과 2023-08-17 1437
1981 시설하우스에 집중된 FTA기금 감귤 지원사업, 이대로 좋은가 1 기획정보과 2023-08-14 1406
1980 "열매 더 맺히긴 했는데..." 고온다습 날씨 생육 영향 1 기획정보과 2023-08-07 1558
1979 "예상은 예상일 뿐.." 제주 하우스온주 가격 상승세 1 기획정보과 2023-08-04 1819
1978 여름과일로 하우스감귤 찾는 소비자 늘었다 1 기획정보과 2023-08-03 1840
1977 서귀포시, 감귤박물관 상설전시실 감귤가공상품 전시공간 참여업체 모집 1 기획정보과 2023-07-31 2066
1976 "제주 감귤재배 어떻게 바뀌나"… 6년만에 전수조사 1 기획정보과 2023-07-31 1816
1975 못생긴 감귤의 우수성, 신례명주 국제품평회 금상 수상 1 기획정보과 2023-07-27 1567
1974 제주감귤박람회 풋귤축제, 내달 15일 시민복지타운서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07-27 2115
1973 "하우스감귤을 최대 37% 싸게 살 수 있다고?" 신한카드, '참신한 제주 농산물 특별전' 진행 1 기획정보과 2023-07-25 1537
1972 [알림]9대도매시장 2023년 하계 임시휴장일 안내 1 기획정보과 2023-07-25 1715
1971 제주 감귤 지켜주던 ‘방풍수’ 이제는 골칫거리로 1 기획정보과 2023-07-20 1660
1970 "제주산 시트러스 서울서 즐겨봐요" 1 기획정보과 2023-07-13 2527
1969 감귤박람회조직위·서울제주도민회, 감귤산업 발전 업무협약 1 기획정보과 2023-07-13 1674
1968 "과원 특성에 맞는 관리가 고당도 감귤 만들어" 1 기획정보과 2023-07-06 16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