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유통명령제 개선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5 10:24:00      ·조회수 : 2,772     

감귤유통명령제 개선 시급
한라일보 5/15 고대용 기자
크기외에 품질도 상품기준에 포함해야

자치경찰 단속투입 위반자 처벌 강화를

 전국 단위의 감귤유통조절명령제 도입이 제주지역의 경제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해 준 가운데 효율성과 실효성을 더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감귤유통명령제 시행시 총 87개반 3백55명의 단속요원이 투입돼 도내 2백18건, 도외 1백82건 등 모두 4백건을 적발했다. 유형별 적발내역은 비상품감귤 유통 3백27건, 강제착색 26건, 품질관리 미이행 34건, 기타가 13건이다. 주체별로는 상인단체 3백9건, 농·감협 47건, 법인 및 개인이 44건이다.

 이 처럼 감귤유통명령제가 비상품감귤 유통차단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보다 더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농·감협, 농민, 산지유통인 등 각 유통주체의 적극적인 참여하에 크기뿐만 아니라 품질에 의한 상품기준도 도입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유통명령제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조항 삽입, 왁스코팅 금지, 전국 소비지로의 확대 및 도매시장의 추가 확대(도매시장+유사도매시장+운송업체+해운업체+택배업체 포함) 등 2005년산에 비해 더 강력한 규제를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특히 위반자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함께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과태료(현행 5백만원에서 1천만원으로 상향조정)를 부과하여 비상품감귤의 유통 인센티브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유통명령제를 준수한 농가·상인을 적극 보호해야 한다.

 게다가 효율적이고 강력한 단속을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민간 단속요원보다는오는 7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맞춰 창설되는 자치경찰을 단속에 투입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FTA기금 과수지원사업을 통해 최소 연간 2만톤 규모의 품질선과가 가능한 비파괴광센서 장착과 이력추적관리가 가능한 거점산지유통센터 구축도 추진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9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관리자 2006-07-12 3978
188 감귤만 아닌 지역전체 위기 관리자 2006-07-12 3139
187 한·미FTA, 지역경제 붕괴 대재앙 우려 관리자 2006-07-12 3448
186 “하우스감귤값 강보합세 유지” 관리자 2006-07-11 2911
185 [경제화제/한라봉 이용 가공식품 개발·판매] 관리자 2006-07-11 3920
184 “감귤 등 1차산업 도미노 파산 우려" 관리자 2006-07-11 3358
183 “한미 FTA로 1차산업 붕괴” 관리자 2006-07-10 3155
182 감귤 개방예외 여부 ‘주목’ 관리자 2006-07-10 4434
181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관리자 2006-07-10 3318
180 제주지역 1차산업 발전을 위한 농정간담회 개최 관리자 2006-07-10 2537
179 감귤 농사 정보화로 ‘재미 톡톡’ 관리자 2006-07-10 3405
178 감귤 특별대책위 “한·미 FTA 감귤 제외하라” 관리자 2006-07-10 2714
177 FTA기금 감귤시설사업 공사중단 속출 관리자 2006-07-07 3879
176 한미 FTA 감귤사수 “서명 10만명 넘었다” 관리자 2006-07-05 2993
175 감귤 수급사업 참여농가 급증 관리자 2006-07-05 3152
174 해상 냉장수송‘경쟁력 높다’ 관리자 2006-07-05 3928
173 올해 감귤 계약출하 109억원 증가 관리자 2006-07-05 3062
172 내리고 또 내리는 비, 농작물 관리 ‘비상’ 관리자 2006-07-05 2678
171 한라봉, 봉지씌우면 품질 좋아진다 관리자 2006-07-05 3476
170 감귤, 특별자치도 홍보역할 ‘톡톡’ 관리자 2006-07-03 277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