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발효 관세 철폐...감귤 붕괴 피해 최대 9조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2 10:15:05      ·조회수 : 2,974     

한미FTA 발효 관세 철폐...감귤 붕괴 피해 최대 9조원
연관산업 외 환경 등 지역 전반 영향
제민일보 6/21 좌용철 기자
▲감귤뿐 아니라 타 산업 연쇄몰락…지역경제 혼란, 지역사회 붕괴 우려
한·미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되기 시작해 감귤류에 대한 관세가 완전히 철폐될 경우, 향후 10년간 지역경제 직·간접 피해규모가 최대 9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더욱이 이로 인해 농업과 관광 등 다른 산업의 연쇄몰락으로 이어져 지역경제의 극심한 혼란은 물론 심지어 지역사회가 붕괴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보고가 나왔다.
감귤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수행중인 제주대학교(연구책임자 고성보 교수)는 21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한·미FTA 대책회의에서 중간보고를 통해 한·미FTA가 발효돼 2008년부터 5년 동안 관세가 완전 철폐될 경우 연관 산업을 포함한 감귤산업 직·간접 피해액은 10년간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했다.
생산량 감소와 농축액 수입 증가 등으로 순수 감귤조수입 감소만 연간 168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감귤유통경비 196억원 △감귤가공 48억원 △감귤관련 서비스 66억원 등 연관산업 피해액까지 합치면 연간 1998억원, 10년 동안 무려 1조9977억원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연구진은 내다봤다.

▲공익적 기능 가치하락까지 감안하면 피해규모는 ‘상상초월’
더구나 감귤산업 직·간접 피해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까지 감안하면 피해규모는 연간 8955억원씩 10년간 9조원에 육박하고, 경관이나 공기정화·홍수조절 등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치하락까지 평가할 경우피해규모가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구진은 공익적 기능에 대한 가치평가는 7월말 제시할 예정이다.
고성보 교수는 “한·미FTA 협상에서 감귤류 수입관세 철폐에 합의할 경우 감귤산업과 제주지역농업은 물론 타 산업의 연쇄몰락을 가져와 지역경제 혼란은 물론이고 자칫 지역사회 붕괴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9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관리자 2006-07-12 3979
188 감귤만 아닌 지역전체 위기 관리자 2006-07-12 3141
187 한·미FTA, 지역경제 붕괴 대재앙 우려 관리자 2006-07-12 3450
186 “하우스감귤값 강보합세 유지” 관리자 2006-07-11 2913
185 [경제화제/한라봉 이용 가공식품 개발·판매] 관리자 2006-07-11 3922
184 “감귤 등 1차산업 도미노 파산 우려" 관리자 2006-07-11 3361
183 “한미 FTA로 1차산업 붕괴” 관리자 2006-07-10 3157
182 감귤 개방예외 여부 ‘주목’ 관리자 2006-07-10 4437
181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관리자 2006-07-10 3320
180 제주지역 1차산업 발전을 위한 농정간담회 개최 관리자 2006-07-10 2540
179 감귤 농사 정보화로 ‘재미 톡톡’ 관리자 2006-07-10 3409
178 감귤 특별대책위 “한·미 FTA 감귤 제외하라” 관리자 2006-07-10 2715
177 FTA기금 감귤시설사업 공사중단 속출 관리자 2006-07-07 3883
176 한미 FTA 감귤사수 “서명 10만명 넘었다” 관리자 2006-07-05 2994
175 감귤 수급사업 참여농가 급증 관리자 2006-07-05 3153
174 해상 냉장수송‘경쟁력 높다’ 관리자 2006-07-05 3929
173 올해 감귤 계약출하 109억원 증가 관리자 2006-07-05 3065
172 내리고 또 내리는 비, 농작물 관리 ‘비상’ 관리자 2006-07-05 2681
171 한라봉, 봉지씌우면 품질 좋아진다 관리자 2006-07-05 3477
170 감귤, 특별자치도 홍보역할 ‘톡톡’ 관리자 2006-07-03 27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