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3 15:48:49      ·조회수 : 2,996     

<p></p>
<font size="5">“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font>

<font size="3" color="blue">강인선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장 특별기고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3 기고문

한·미 FTA 협상이 농업 등 1차 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서민들의 삶을 파탄에

이르게 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김태환 지사가 제4차 협상 제주 개최 확정과 관련

해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 FTA 협상단에게 제주지역 감귤의 어려움을 평화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삼자”고 도민들에게 호소한 것을 보면 정말로 제주감귤에 타

격이 많기는 많은 모양이다.

며칠 전, 홍영표 대통령직속 한·미 FTA체결지원단장은 감귤을 민감품목으로 지정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감귤의 ‘예외품목’지정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얘기와 다

를 바 없다. 감귤의 민감품목 지정은 감귤시장을 완전 개방하겠다는 것하고 같은 말

이다.

협상 이전부터 미국에게 알아서 기겠다는 것이다. 제주감귤 농가들이 원하는 것은

민감품목이 아니라 예외품목이다. 얼마 전에도 김종훈 FTA협상 수석대표가 민감품

목을 언급한 적이 있다.

서로들 돌아가면서 민감품목 운운하는 것이 아무래도 시작 전에 예외품목은 포기한

듯 싶다. 감귤의 보호장벽이 무너진다는 것은 제주경제의 무너짐을 의미한다. 물론

대부분의 농작물들이 많은 피해를 보겠지만 감귤의 피해는 제주경제에 직격탄을 가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행태로 볼 때, 농업에 대한 정부의 시각은 이렇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

(UR)의 강과 한·칠레 FTA강도 건넜으니 한미 FTA 농업개방이라는 강을 충분히 건

널 수 있다고 한다.

쌀을 제외할 경우 경쟁력 없는 품목의 비중은 2%에 불과한 만큼 충분한 지원대책을

세우면 겁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경쟁력 있는 품목이나 경쟁력 없는 품목이 대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도 않으면서 쌀을 가장 큰 쟁점으로 몰고 가 쇠고기

와 과일 등 미국의 요구를 희석시키려 한다는 의구심만 든다.

이미 학자들은 한·미 FTA로 인한 농업피해는 농업에 대한 국가폭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농민들은 경쟁력 없는 품목이 2%가 아니라 경쟁할 수 있는 품목이 2%도 안된

다고 본다. UR의 강을 건널 때 농가부채는 4배로 늘었고 농민은 절반만 남았다. UR

보다 더한 한·미 FTA는 우리가 결코 건너서는 안 되는 강이다. 잘못된 협상 때문에

농민이, 국민이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널 수는 없는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9 감귤 재해복구비 단가 40% 상향조정 관리자 2006-06-23 3524
148 감귤정책 오락가락 관리자 2006-06-23 3864
147 감귤 등 불법반입 식물 급증 관리자 2006-06-22 3032
146 2010년 감귤 1조원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6-22 3105
145 [해설/韓美FTA 감귤예상 피해 및 대책] 관리자 2006-06-22 2827
144 감귤 왁스코팅 논란 재연 관리자 2006-06-22 2795
143 감귤 몰락은 제주사회 붕괴 관리자 2006-06-22 2918
142 “감귤 협상제외 10만인 서명운동 전개” 관리자 2006-06-22 2985
141 하우스 감귤 가격 '주춤' 관리자 2006-06-22 3160
140 한미FTA 발효 관세 철폐...감귤 붕괴 피해 최대 9조원 관리자 2006-06-22 3041
139 <사설>한라봉 사업단의 소비자 조사 결과 관리자 2006-06-21 3148
138 지역농협 클러스터 워크숍 개최 관리자 2006-06-21 3216
137 한·미FTA발효시 감귤산업 2조원 피해 관리자 2006-06-21 3231
136 한라봉 감귤, 어떻게 할 것 인가? 관리자 2006-06-21 3229
135 韓·美 FTA 감귤대책 새판 짠다 관리자 2006-06-21 3309
134 오렌지 등 수입식물 2천여건 검역처분 관리자 2006-06-20 3502
133 ”한라봉 인기 비결은 역시 맛” 관리자 2006-06-20 3557
132 감귤 비파괴 선과시스템 구축 시급 관리자 2006-06-19 3246
131 하우스감귤 가격 지난해보다 9% 높아 관리자 2006-06-19 3117
130 감귤 미 수출 재개 ‘청신호’ 관리자 2006-06-19 327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