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대비 지원책 수립할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07 09:52:21      ·조회수 : 2,491     

<b><font size=5>
"한미FTA 대비 지원책 수립할때" </font><font size=3 color=blue>

농축산국 업무보고서 </font>

2007년 02월 06일 (화)

<font size=3>
한미FTA 7차 협상이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결과를 대비한 감귤 지원책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열린 제236회 제주특별자치도 임시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친환경농축산국은 한미FTA협상때 감귤을 육지부의 쌀과 대등하게 오렌지 등 감귤류 협상품목에서 반드시 제외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 한해 감귤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해 감귤 1/2간벌지원사업, 감귤원 토양피복 지원사업, 고품질 과실생산시설 현대화사업(감귤하우스 시설사업 등 5개사업) ,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시설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한미FTA 타결이 눈앞에 다가왔음에도 불구, 제주도 감귤산업 육성정책이 제자리 걸음에 머무는 등 한미FTA타결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좌남수 의원은 “올해 감귤시책을 아무리 봐도 한미FTA를 극복할 수 있는 사업이 없다”며 “토양피복제, 고품질사업, 거점산지유통센터 만으로 시장개방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라도 품종개량에 투자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올해 감귤정책 보완을 주문했다.

이어 “감귤을 쌀과 똑같이 대해달라고 하지만 제주에 감귤생산량이 많다는 논리만으로는 미국정부를 움직일 수 있겠는가”며 “도민의 혈세를 들여서 미국가서 커피마시고 오지말고 한국정부를 먼저 설득시킬 마음가짐으로 농림부, 청와대에 앞에 가서 국장이 피켓을 들고 서있을 각오 의지를 가져라”고 지적했다.

안동우 의원 역시 “감귤이 민감품목이 되든 예외품목이 되든 제주도가 가장 노력해야 할 것은 타결에 따른 지원책이다”며 “7차 협상 결과에 따른 후속지원조치가 필요하며, 지금부터 당장 지원책모색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font>
박미라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8 감귤 생산 예산량 '예측 착오' 시인 관리자 2006-06-16 2610
127 유통명령위반 처벌 강화 관리자 2006-06-16 2338
126 한ㆍ미FTA 협상 '일방통행' 관리자 2006-06-16 2631
125 미, FTA대비 감귤재배 ‘충격’ 관리자 2006-06-16 3356
124 고급과일 ‘한라봉’ ‘천혜향’ 명암 엇갈려 관심 관리자 2006-06-16 3548
123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관리자 2006-06-16 3172
122 [백록담]감귤막걸리 맛보세요! 관리자 2006-06-15 3681
121 감귤 왁스처리 문제 ‘골머리’ 관리자 2006-06-15 3448
120 [한미FTA] “감귤 민감품목 언급 없었다” 관리자 2006-06-15 2705
119 하우스감귤 가격 고공행진 '지속' 관리자 2006-06-14 3422
118 하우스감귤 ‘오렌지 악재’ 우려 관리자 2006-06-14 2895
117 제주 감귤 존립 ‘위협‘ 관리자 2006-06-14 2520
116 감귤우유 나온다…제주낙협, 개발 착수 관리자 2006-06-14 2474
115 ‘껍질째 마시는 제주느낌’ 출시 관리자 2006-06-13 5962
114 ‘제주레몬’서 염증 억제 물질 추출 관리자 2006-06-13 2916
113 노지감귤 생산량 54~59만t 작년수준 예상 관리자 2006-06-12 2906
112 감귤 기능성 언론홍보 강화,컨설팅등 자조금사업 시행 관리자 2006-06-12 2587
111 제주도농기원 연구 “감귤즙 짜낸 찌꺼기에 기능성 물질 다량함유” 관리자 2006-06-12 2793
110 감귤거점산지유통센터 8월말 준공 관리자 2006-06-12 2945
109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관리자 2006-06-12 19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