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정책까지‘해거리’를 하면 안된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26 09:16:43      ·조회수 : 2,565     

꼭 3년전 이맘때인 2008년 2월 제주도 감귤농정 당국은 거창한 계획을 발표했다. ‘제주감귤 HIGH-UP(하이업)을 위한 감귤정책 일대전환 전략과 Action Plan(액션플렌)’이 그것이다. 특별자치도 출범 2년째를 맞아 민선 4기 김태환 도정이 야심차게 제시한 감귤산업 혁신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농정당국이 이 같은 전략을 제시한 배경은 관(官) 주도의 감귤정책을 시장원리에 입각, 대전환을 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시장원리·참여형 정책 ▲주체별 자율·자립형 정책 ▲농업경영체 등 단위별 적용 ▲성과에 따른 차등 지원 ▲소비자 중심 정책 등 ‘감귤정책 일대전환 5대 전략’을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제시했다. 역으로 보면 그 동안 감귤정책이 행정주도로 집행되면서 감귤산업의 자생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반성을 한 셈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새로운 감귤정책은 철저한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행정당국은 감귤정책 수립 및 조정, 예산·기술 지원, 농업인 교육을 담당하고 생산자단체는 고품질감귤 생산지도와 유통 전반을 전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감귤농가는 간벌과 열매솎기 등 생산현장에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책임지도록 했다.

감귤농정 당국은 이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추진단과 테스크포스(TF)팀을 꾸리고 단계별 추진계획을 마련하는 등 한동안 부산을 떨었다. 그런데 이듬해 이 같은 큰 흐름은 아주 자연스럽게 유야무야됐다. 200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70만t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행정이 주도적으로 감산에 나섰다. 공무원들에게 ‘직을 걸고’ 간벌 등 감산목표를 달성하라고 내몰았다. 자율정책 기조는 ‘헛구호’였음을 스스로 고백한 셈이다. 다시 관 주도로 유(U)턴했다.

그랬던 제주도 감귤농정 당국이 다시 새해 벽두부터 감귤정책 일대전환을 내걸고 각 부문 주체들을 단도리하고 나섰다.

그런데 제주도 당국의 정책행보가 3년전 그것과 너무나 닮았다. 마치 3년 세월이 흐르지 않은 것 같다. 일례로 농정당국이 마련한 정책자료집을 보자. 일부 내용은 3년전 자료집에서 토씨 하나 다르지 않게 그대로 옮겨 실었다. 생산량 등 통계수치만 일부 업데이트했다.

이번에 특별히 강조했다면 수출 부문이다. 민선 5기 우근민 도정의 핵심 정책 기조가 ‘수출 1조원 시대 개막’인 점을 감안해 역동적인 수출 확대와 가공산업 육성 등을 통해 ‘감귤산업 1조원 시대를 연다’는 슬로건을 붙였다.

그리고 감귤산업 1조원 시대 개막의 목표년도를 3년전에는 2017년으로 잡았다고 이번에는 2014년으로 앞당긴 점도 달라진 부분이다.

3년이라는 시간은 그리 짧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원리 정책과 주체별 역할 분담을 여전히 읊조리는 행태로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까.

제주도에서 감귤만큼 다양한 자료와 폭넓은 데이터를 가진 작목도 드물 것이다. 그만큼 당국이 축적한 노하우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 어느 상황에서도 웬만한 자료쯤은 후딱 생산해 낸다. 만지작거릴 카드도 적지 않다. 문제는 그것들 가운데 새로운 것이 없다는 데 있다.

결국 사람의 문제로 귀착된다. 3년 이상 묵은 파일 하나 꺼내 적당히 손질해서 파일명만 바꿔 내놓아서는 곤란하다. 감귤산업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가 ‘해거리’ 현상이다. 그렇다고 정책까지 ‘해거리’를 해선 안된다. 오는 2014년 7월께 다시 이런 논의가 이뤄지지 않기 위해서 더 그렇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7 유통명령위반 처벌 강화 관리자 2006-06-16 2305
126 한ㆍ미FTA 협상 '일방통행' 관리자 2006-06-16 2625
125 미, FTA대비 감귤재배 ‘충격’ 관리자 2006-06-16 3325
124 고급과일 ‘한라봉’ ‘천혜향’ 명암 엇갈려 관심 관리자 2006-06-16 3534
123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관리자 2006-06-16 3136
122 [백록담]감귤막걸리 맛보세요! 관리자 2006-06-15 3629
121 감귤 왁스처리 문제 ‘골머리’ 관리자 2006-06-15 3402
120 [한미FTA] “감귤 민감품목 언급 없었다” 관리자 2006-06-15 2678
119 하우스감귤 가격 고공행진 '지속' 관리자 2006-06-14 3412
118 하우스감귤 ‘오렌지 악재’ 우려 관리자 2006-06-14 2872
117 제주 감귤 존립 ‘위협‘ 관리자 2006-06-14 2475
116 감귤우유 나온다…제주낙협, 개발 착수 관리자 2006-06-14 2463
115 ‘껍질째 마시는 제주느낌’ 출시 관리자 2006-06-13 5912
114 ‘제주레몬’서 염증 억제 물질 추출 관리자 2006-06-13 2887
113 노지감귤 생산량 54~59만t 작년수준 예상 관리자 2006-06-12 2897
112 감귤 기능성 언론홍보 강화,컨설팅등 자조금사업 시행 관리자 2006-06-12 2566
111 제주도농기원 연구 “감귤즙 짜낸 찌꺼기에 기능성 물질 다량함유” 관리자 2006-06-12 2759
110 감귤거점산지유통센터 8월말 준공 관리자 2006-06-12 2932
109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관리자 2006-06-12 1912
108 하우스감귤價 강세 속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관리자 2006-06-12 23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