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대비 지원책 수립할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07 09:52:21      ·조회수 : 2,492     

<b><font size=5>
"한미FTA 대비 지원책 수립할때" </font><font size=3 color=blue>

농축산국 업무보고서 </font>

2007년 02월 06일 (화)

<font size=3>
한미FTA 7차 협상이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결과를 대비한 감귤 지원책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열린 제236회 제주특별자치도 임시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친환경농축산국은 한미FTA협상때 감귤을 육지부의 쌀과 대등하게 오렌지 등 감귤류 협상품목에서 반드시 제외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올 한해 감귤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해 감귤 1/2간벌지원사업, 감귤원 토양피복 지원사업, 고품질 과실생산시설 현대화사업(감귤하우스 시설사업 등 5개사업) ,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시설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한미FTA 타결이 눈앞에 다가왔음에도 불구, 제주도 감귤산업 육성정책이 제자리 걸음에 머무는 등 한미FTA타결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원들의 지적이 이어졌다.

좌남수 의원은 “올해 감귤시책을 아무리 봐도 한미FTA를 극복할 수 있는 사업이 없다”며 “토양피복제, 고품질사업, 거점산지유통센터 만으로 시장개방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라도 품종개량에 투자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올해 감귤정책 보완을 주문했다.

이어 “감귤을 쌀과 똑같이 대해달라고 하지만 제주에 감귤생산량이 많다는 논리만으로는 미국정부를 움직일 수 있겠는가”며 “도민의 혈세를 들여서 미국가서 커피마시고 오지말고 한국정부를 먼저 설득시킬 마음가짐으로 농림부, 청와대에 앞에 가서 국장이 피켓을 들고 서있을 각오 의지를 가져라”고 지적했다.

안동우 의원 역시 “감귤이 민감품목이 되든 예외품목이 되든 제주도가 가장 노력해야 할 것은 타결에 따른 지원책이다”며 “7차 협상 결과에 따른 후속지원조치가 필요하며, 지금부터 당장 지원책모색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font>
박미라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8 하우스감귤價 강세 속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관리자 2006-06-12 2399
107 ‘감귤+유채 ·녹차’ 제주농업 컬러화 추진 관리자 2006-06-12 2442
106 한·미 FTA 본격 협상 ‘촉각’ 관리자 2006-06-05 2821
105 체결시 감귤 등 1차산업 ‘직격탄’ 관리자 2006-06-05 3059
104 선과장 화염열풍건조 '不可' 관리자 2006-06-05 2375
103 제주감협, 한림한경지소 지점으로 승격 관리자 2006-06-02 3482
102 제주산 감귤 타격 심할 듯 관리자 2006-06-02 3160
101 소규모 감귤 작목반 통합 추진 관리자 2006-06-01 2447
100 시대변화의 길목에 선 제주감귤............. 관리자 2006-06-01 2606
99 감귤간벌 추진 평가, 중문동 최우수 선정 관리자 2006-06-01 2804
98 감귤유통업체 지원 확대 관리자 2006-06-01 3307
97 감귤자조금사업 20억 승인 관리자 2006-06-01 3128
96 [농수산] 하우스 감귤 생산 줄 듯 관리자 2006-06-01 2909
95 남원농협, 한라봉농가 대상…GAP 사업설명회 개최 관리자 2006-06-01 3123
94 하우스감귤 면세유 배정기준 재검토 관리자 2006-06-01 2852
93 외국산 오렌지·포도 수입 증가 관리자 2006-06-01 3030
92 “고품질 1등 과일 원년’ 기록” 관리자 2006-05-30 2570
91 감귤 육성 로드맵 마련된다 관리자 2006-05-30 2827
90 감귤조수입 3년 연속 6천억 달성에 '도전' 관리자 2006-05-30 2882
89 올 노지감귤 생산 ‘작년 수준’ 관리자 2006-05-30 247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