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4 15:38:29      ·조회수 : 3,476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농민신문 8/14 강영식 기자
“믿기 어렵죠. 감귤 피해액은 지나치게 과소평가됐습니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가 체결되면 감귤 생산액은 10년간 평균 700억원이 감소할 것이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분석 결과에 대해 제주지역 감귤농가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본지 8월7일자 4면 보도).

감귤류 관세가 즉시 철폐될 경우 10년간 평균 2,156억원의 생산 감소가 있을 것이란 제주대 연구팀의 종전 연구결과와 너무 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감귤농가들은 국책연구기관인 농경연이 발표한 피해액이 과소평가됐다는 반응을 보이며 “사과 등 다른 과일에 비해 감귤이 홀대받는다는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했다.

감귤농가 현승훈씨(41·서귀포시 표선면 세화1리)는 “농경연 연구는 감귤값이 바닥세를 면치 못했던 2002~2004년의 조수입을 기준으로 삼았다는데, 최근 기준인 6,000억원대를 적용하는 게 설득력이 있다”며 “감귤산업 피해액을 일부러 축소하려는 것 아니냐”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김성균씨(41·서귀포시 남원읍 신흥리)도 “기존 연구보다 터무니없이 적은 농경연의 피해액 산출 결과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감귤농가는 아무도 없다”라고 했다.

김기훈 제주감귤농협 조합장은 피해액 산정은 수십만명의 생존이 걸린 중대한 문제라고 전제한뒤 “감귤 조수입은 6,000억원을 넘는데 감귤류 관세 철폐로 인해 감소되는 생산액이 수백억원대에 불과하다면 믿을 수 있겠느냐”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고성보 제주대 교수는 “사과에 적용한 피해 추정 기준(교차탄성치)을 동일하게 감귤에 적용할 경우 감귤 피해액은 농경연 발표치보다 313억~422억원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9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관리자 2006-06-12 2339
108 하우스감귤價 강세 속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관리자 2006-06-12 2789
107 ‘감귤+유채 ·녹차’ 제주농업 컬러화 추진 관리자 2006-06-12 2844
106 한·미 FTA 본격 협상 ‘촉각’ 관리자 2006-06-05 3262
105 체결시 감귤 등 1차산업 ‘직격탄’ 관리자 2006-06-05 3456
104 선과장 화염열풍건조 '不可' 관리자 2006-06-05 2822
103 제주감협, 한림한경지소 지점으로 승격 관리자 2006-06-02 3952
102 제주산 감귤 타격 심할 듯 관리자 2006-06-02 3552
101 소규모 감귤 작목반 통합 추진 관리자 2006-06-01 2920
100 시대변화의 길목에 선 제주감귤............. 관리자 2006-06-01 2995
99 감귤간벌 추진 평가, 중문동 최우수 선정 관리자 2006-06-01 3254
98 감귤유통업체 지원 확대 관리자 2006-06-01 3619
97 감귤자조금사업 20억 승인 관리자 2006-06-01 3440
96 [농수산] 하우스 감귤 생산 줄 듯 관리자 2006-06-01 3363
95 남원농협, 한라봉농가 대상…GAP 사업설명회 개최 관리자 2006-06-01 3512
94 하우스감귤 면세유 배정기준 재검토 관리자 2006-06-01 3185
93 외국산 오렌지·포도 수입 증가 관리자 2006-06-01 3350
92 “고품질 1등 과일 원년’ 기록” 관리자 2006-05-30 2938
91 감귤 육성 로드맵 마련된다 관리자 2006-05-30 3152
90 감귤조수입 3년 연속 6천억 달성에 '도전' 관리자 2006-05-30 322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