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11 10:57:05      ·조회수 : 2,590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오는 2011년은 제주특별자치도에 노지 온주밀감이 도입된지 100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다. ‘제주 감귤 100년’은 보릿고개를 극복하고 ‘대학나무’로 불렸던 부흥기를 거치며 관광산업과 함께 오늘의 제주를 이룩해낸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제주 감귤은 역사적으로 제주도민들의 삶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끼쳐왔다. 조선시대의 감귤나무는 도민들에게 ‘고통을 주는 나무’로 도민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나무이기도 하다.

제주 감귤은 그 시원이 분명치 않으나 선사시대부터 자생해 온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탐라에서 세공하는 귤자의 수량을 개정한다는 고려 문종 6년(1052년)의 기록을 볼 때 이보다 휠씬 전부터 왕실에 공물로 바쳐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감귤은 왕실에서 제사용, 약용, 귀빈 접대용으로 귀중하게 취급했으며 그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관영 과수원이 여러 곳에서 운영된 기록이 있다. 그렇지만 감귤 재배는 관리들의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공납 물량이 연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지방 관리들의 횡포까지 가중돼 농민들은 감귤 재배를 회피했고 근대까지 감귤 재배가 민간 산업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개량 감귤은 한말 정치가이며 대신이었던 박영효에 의해 도입됐다고 전해진다. 그가 제주에 유배생활을 할 때 개량 감귤을 제주시 구남동(九南洞)에 심었다고 알려지고 있지만 그 기록과 재배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이후 1911년 프랑스 출신인 엄탁가(Esmile J. Touquet) 신부가 일본에 있는 친구에 제주자생 왕벗나무를 보내준 답례로 온주밀감(미장온주) 15그루를 기증받아 현 서귀포시 서홍동 소재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원 ‘면형의 집’에 심었는데 그때 심은 나무 중 한 그루가 아직도 남아 있다.

1955년까지 재배면적 20ha 미만이었던 감귤 재배면적은 1960년대부터 정부의 감귤증산 정책에 힘입어 재배면적이 급속히 증가했다. 이 때 제주 출신 재일교포들의 묘목 기증 운동이 제주 감귤 성장에 빛을 발했다. 1990년대 전반까지 꾸준한 늘어난 재배면적은 1998년 2만5860㏊를 정점으로 감귤산업 구조조정 계획에 의해 감소되고 있지만 2008년말 기준으로 2만937㏊에 이르고 있다.

감귤 조수입은 한때 제주도지역 총생산액(GRDP)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발전했다. 2000년대 들어 지역 총생산액 중 차지하는 비중은 6% 내외로 떨어졌지만 감귤은 여전히 제주의 지주산업이 되고 있으며 감귤 가격의 등락에 도민들의 희비가 교차되고 있다.

감귤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동맥경화나 고혈압 예방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 및 피로회복에 뛰어난 효력을 지니고 있다.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캐주얼 과일’로 불리는 감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마다 60만t씩 먹는 부동의 소비량 1위의 국민과일이다.

제주 감귤은 20세기초 산업적 의미의 재배가 시작된 이래 1세기를 맞아 대내외적으로 위기에 봉착해 있다. 최근 잇따르는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완전개방에 직면한데다 경쟁력 약화 등으로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 제주도는 제주를 감귤 랜드마크로 정착시키고 세계의 감귤로 도약하는 ‘100주년 기념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국내외 홍보마케팅, 축제·이벤트, 학술대회, 신품종 발표회 등 다양한 사업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 추진에 앞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그 것은 행정주도형 감귤정책이 시장경쟁의 원리에 입각한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정책 전환 시도는 그동안 몇 차례 실패를 거듭했다. ‘생산은 농가, 유통은 생산자단체, 기획·조정은 행정’이 책임지는 주체별 자율과 자립형 정책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제주 감귤의 앞으로 가야 할 새로운 100년 비전은 한낱 공염불이 될 것이다.

제주일보 2009년 11월 11일 고경업 기자 guko@jejunews.com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7 드러난 미국측 ‘한·미FTA 협정문 초안’ 관리자 2006-05-29 2827
86 최고품질 감귤 시범지역 조성 관리자 2006-05-29 2995
85 근래 감귤원에는........... 관리자 2006-05-29 2776
84 북군, 129농가에 감귤 토양피복 재배 지원 관리자 2006-05-29 2381
83 하우스감귤 ‘순조로운 출발’ 관리자 2006-05-25 2664
82 ‘감귤 닭고기’ 나온다 관리자 2006-05-25 2665
81 [일본]열대감귤질병 유전자진단 단시간에 판명 관리자 2006-05-24 2887
80 감귤 조수입 8000억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5-24 4738
79 FTA기금 신규사업 확대지원 건의 관리자 2006-05-23 2308
78 [백록담]한·미FTA와 제주 관리자 2006-05-22 2137
77 “제주의 명품 한라봉 명성 되찾자” 관리자 2006-05-22 2480
76 하우스 감귤 공동수확단 효과만점 관리자 2006-05-22 2711
75 감귤 박물관 인기 세몰이 관리자 2006-05-22 2947
74 “고품질 감귤생산으로 활로찾자” 관리자 2006-05-19 2360
73 "명품 한라봉" 이젠 가공용으로 관리자 2006-05-19 2913
72 하우스감귤, 도매시장서 ‘호평’ 관리자 2006-05-19 2205
71 잦은 비날씨 감귤원관리 비상 관리자 2006-05-19 2515
70 감귤 공동수확단 ‘1석2조’ 관리자 2006-05-17 2587
69 소비자 인식 한라봉 "비싸다 관리자 2006-05-17 2631
68 농협, 올해산 감귤 계약출하 관당 2915원에 계약 관리자 2006-05-17 255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