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6-08 09:26:05      ·조회수 : 3,330     

올해산 노지감귤의 품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개화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센터장 김명환)가 조사 발표한 과일관측 자료에 따르면 개화기 저온이 지속되면서 노지감귤의 최초 개화일과 만개일은 평년보다 각각 7일 늦은 지난 5월 14일과 5월 22일로 조사됐다.



올해 노지감귤의 꽃수는 해거리 현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21%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올해산 노지감귤의 전체 생산량은 적정 생산량인 58만t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작년보다 29% 증가했고, 제주시가 겨울철 한파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4% 감소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은 출뢰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이 짧아 꽃이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처럼 평년보다 개화시가가 늦어지면서 생리낙과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6월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보되면서 더뎅이병 감염 위험이 높은 데다 강풍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궤양병 발생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1차 생리낙과가 진행되면서 검은점무늬병 1차 방제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관측센터는 이와 관련, “앞으로 1·2차 자연 낙과와 비대기 및 수확기 기상 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화가 있겠지만 품질 관리를 위한 농가들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이 지난달 11일부터 20일까지 조사요원 336명을 동원해 도내 감귤원 457곳을 표본으로 화엽비를 조사한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60만4000~64만8000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적정 생산량 수준인 58만t과 비교하면 최소 4.1%, 최대 11.7% 많아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수치다.



문의 농촌경제연구원 과일과채관측팀 02-3299-4336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9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관리자 2006-06-12 2396
108 하우스감귤價 강세 속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관리자 2006-06-12 2865
107 ‘감귤+유채 ·녹차’ 제주농업 컬러화 추진 관리자 2006-06-12 2897
106 한·미 FTA 본격 협상 ‘촉각’ 관리자 2006-06-05 3330
105 체결시 감귤 등 1차산업 ‘직격탄’ 관리자 2006-06-05 3512
104 선과장 화염열풍건조 '不可' 관리자 2006-06-05 2892
103 제주감협, 한림한경지소 지점으로 승격 관리자 2006-06-02 4013
102 제주산 감귤 타격 심할 듯 관리자 2006-06-02 3615
101 소규모 감귤 작목반 통합 추진 관리자 2006-06-01 2981
100 시대변화의 길목에 선 제주감귤............. 관리자 2006-06-01 3065
99 감귤간벌 추진 평가, 중문동 최우수 선정 관리자 2006-06-01 3321
98 감귤유통업체 지원 확대 관리자 2006-06-01 3684
97 감귤자조금사업 20억 승인 관리자 2006-06-01 3507
96 [농수산] 하우스 감귤 생산 줄 듯 관리자 2006-06-01 3415
95 남원농협, 한라봉농가 대상…GAP 사업설명회 개최 관리자 2006-06-01 3575
94 하우스감귤 면세유 배정기준 재검토 관리자 2006-06-01 3244
93 외국산 오렌지·포도 수입 증가 관리자 2006-06-01 3412
92 “고품질 1등 과일 원년’ 기록” 관리자 2006-05-30 2999
91 감귤 육성 로드맵 마련된다 관리자 2006-05-30 3210
90 감귤조수입 3년 연속 6천억 달성에 '도전' 관리자 2006-05-30 328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