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5 12:04:26      ·조회수 : 2,596     

<p></p>
<b><font size="5">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b></font>

<font size="4" color="blue">감귤·관광통계 정책반영 한계…예산·인력확충 절실</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5 김태형 기자

각종 정책 결정을 위한 지역 맞춤형 통계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지자체

의 인식 부족 등으로 겉돌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특히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역통계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관련기관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절실해지고 있다.

4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된 지역 통계는 관광객

과 감귤 생산예상량, 경기동행지수 등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관광객 통계인 경우 입도 관광객 추이를 파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다

감귤 생산예상량 통계도 오차범위를 둘러싼 시비가 반복되는 등 신뢰성에 흠집을 드

러내고 있다.

또 경기동행지수 통계는 2개월 정도 늦게 나오면서 정책 반영에 한계를 드러내는가

하면 최근 추가 개발된 선행지수도 경제 전망치의 정확도 여부에는 의문이 제기되

고 있다.

이들 통계는 점차 보완되고 있지만 관련 분야가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전문성 확보를 통해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도의회 등에서 잇따르고 있

다.

더욱이 지자체 통계 업무도 턱없이 부족한 인력과 예산 등으로 주민등록인구 등 단

순 통계 조사에 치우치고 있는데다 일부 경제 단체·기관의 자체 통계는 표본수 미흡

등으로 보완이 요구되는 등 통계 인프라 확충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로볼때 최근 전북을 비롯한 일부 지자체들이 통계청 등 전문기관과 업무 약정을

체결해 지역통계 개발에 나서는 점을 감안, 특별자치도에 걸맞는 관련기관간 통계협

의기구 구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에대해 강문종 제주통계사무소장은 “전국적으로 지역통계 개발이 활성화되는 추

세”라며 “인력·예산 확보 등 지자체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9 올 노지감귤 생산 ‘작년 수준’ 관리자 2006-05-30 2824
88 FTA의 본질과 우리의 선택 관리자 2006-05-30 2796
87 드러난 미국측 ‘한·미FTA 협정문 초안’ 관리자 2006-05-29 3200
86 최고품질 감귤 시범지역 조성 관리자 2006-05-29 3388
85 근래 감귤원에는........... 관리자 2006-05-29 3150
84 북군, 129농가에 감귤 토양피복 재배 지원 관리자 2006-05-29 2732
83 하우스감귤 ‘순조로운 출발’ 관리자 2006-05-25 3032
82 ‘감귤 닭고기’ 나온다 관리자 2006-05-25 2997
81 [일본]열대감귤질병 유전자진단 단시간에 판명 관리자 2006-05-24 3257
80 감귤 조수입 8000억 시대 연다 관리자 2006-05-24 5139
79 FTA기금 신규사업 확대지원 건의 관리자 2006-05-23 2735
78 [백록담]한·미FTA와 제주 관리자 2006-05-22 2458
77 “제주의 명품 한라봉 명성 되찾자” 관리자 2006-05-22 2836
76 하우스 감귤 공동수확단 효과만점 관리자 2006-05-22 3078
75 감귤 박물관 인기 세몰이 관리자 2006-05-22 3360
74 “고품질 감귤생산으로 활로찾자” 관리자 2006-05-19 2743
73 "명품 한라봉" 이젠 가공용으로 관리자 2006-05-19 3266
72 하우스감귤, 도매시장서 ‘호평’ 관리자 2006-05-19 2545
71 잦은 비날씨 감귤원관리 비상 관리자 2006-05-19 2879
70 감귤 공동수확단 ‘1석2조’ 관리자 2006-05-17 303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