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지지부진 감귤랜드 활로 찾아 뛰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6 14:00:45      ·조회수 : 3,335     

지지부진 감귤랜드 활로 찾아 뛰라
서귀포시 감귤랜드의 민자유치가 수년째 지지부진이다. 감귤랜드 조성이 처음부터 무리였을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오랫동안 제주도민을 먹이고 자녀들을 공부시킨 감귤이다. 시대의 흐름이 바뀌어, 감귤은 장래가 불안하다. 그러나 그 전망이 밝으면 밝은대로, 어두우면 어두운대로 감귤과 제주는 뗄 수 없는 인연(因緣)을 이어갈 것이다.

 훗날 요행히 다른 작물이나 다른 산업이 나타나 감귤을 대체(代替)하는 경우를 가상한다고 해도, 감귤랜드와 같은 사업의 의미는 여전히 유효할 것이다. 유럽을 여행하다 보면 탄광 등 과거의 산업현장을 되살려 관광객을 불러 모으는 곳들을 종종 만나게 된다. 감귤은 제주의 과거이자 현재일 뿐 아니라, 하기에 따라서는 미래로서 계속 살아남을 수가 있다. 그 뿐 아니라 감귤랜드와 같은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면 그 자체가 감귤산업에 다시 생기를 불어넣어 산업의 생명력을 연장(延長)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런데도 감귤랜드의 현주소는 참담하다. 백억원이 넘는 거액을 투자해 조성한 사업인데, 이곳을 찾는 인원은 하루 평균 2백명 안팎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현황을 알기에, 서두에서 사업의 의의를 근본적으로 따져 물었던 것이다.

 그 취지가 아무리 타당하다 해도 현실이 이렇게 낭비적이면 사업에 대한 회의(懷疑)가 생기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의미도 있고 이미 백억원 이상을 쏟아넣은 사업이니 만큼 어떻게 해서든지 간에 살려낼 궁리를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주변에 연계(連繫)할 수 있는 관광자원도 없이 외진 곳에 덩그러니 박물관 하나 짓고 손짓한다고 해서 손님들이 와줄 리 없다.

 이를 살릴 방도는 역시 민자유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일대가 공원지구로 묶여 있는 동안은 임자를 찾기가 힘들 것이다. 이런 상태로 둔 채 지금까지처럼 투자를 해 달라는 공문이나 띄워서는 투자자가 나설 리 만무하다. 제주도나 서귀포시나, 문제를 알았으면 답을 찾아 부지런히 움직여야 할 것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 ‘부피과’수출감귤 클레임 주원인 관리자 2006-05-09 3306
48 한·미 FTA 감귤피해 최소화 해법찾기 비상 관리자 2006-05-09 2507
47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관리자 2006-05-09 2818
46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 도입, 감귤 품질경쟁력 강화해야” 관리자 2006-05-08 2756
45 감귤산업 보호장치 ‘주목’ 관리자 2006-05-08 3242
44 이달의 새농민 "고석찬.김숙자" 부부 선정 관리자 2006-05-04 2662
43 농작물 병해충 달걀로 해결 관리자 2006-05-04 3331
42 칠레산 오렌지, 내달 국내 상륙 관리자 2006-05-04 2890
41 감귤 맛을 와인으로 느껴보세요 관리자 2006-05-03 3070
40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관리자 2006-05-02 3143
39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관리자 2006-05-02 2942
38 [수입오렌지]다국적청과기업 등 관리자 2006-04-28 3334
37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관리자 2006-04-28 2598
36 토양피복 재배 감귤농가 일반농가보다 소득 높아 관리자 2006-04-28 2518
35 맥 못추는 제주감귤 "어쩌나" 관리자 2006-04-28 4176
34 “감귤육종연구소 설립해야” 관리자 2006-04-27 2652
33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관리자 2006-04-27 2826
32 감귤원 1/2간벌 “힘드네” 관리자 2006-04-27 2501
31 감귤 ‘돌연변이 육종’ 논란 관리자 2006-04-27 3199
30 감귤 생산예상량 조사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4-27 316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