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3,938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 ‘부피과’수출감귤 클레임 주원인 관리자 2006-05-09 3337
48 한·미 FTA 감귤피해 최소화 해법찾기 비상 관리자 2006-05-09 2536
47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관리자 2006-05-09 2858
46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 도입, 감귤 품질경쟁력 강화해야” 관리자 2006-05-08 2796
45 감귤산업 보호장치 ‘주목’ 관리자 2006-05-08 3279
44 이달의 새농민 "고석찬.김숙자" 부부 선정 관리자 2006-05-04 2692
43 농작물 병해충 달걀로 해결 관리자 2006-05-04 3364
42 칠레산 오렌지, 내달 국내 상륙 관리자 2006-05-04 2929
41 감귤 맛을 와인으로 느껴보세요 관리자 2006-05-03 3099
40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관리자 2006-05-02 3174
39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관리자 2006-05-02 2962
38 [수입오렌지]다국적청과기업 등 관리자 2006-04-28 3373
37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관리자 2006-04-28 2639
36 토양피복 재배 감귤농가 일반농가보다 소득 높아 관리자 2006-04-28 2550
35 맥 못추는 제주감귤 "어쩌나" 관리자 2006-04-28 4212
34 “감귤육종연구소 설립해야” 관리자 2006-04-27 2680
33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관리자 2006-04-27 2866
32 감귤원 1/2간벌 “힘드네” 관리자 2006-04-27 2529
31 감귤 ‘돌연변이 육종’ 논란 관리자 2006-04-27 3222
30 감귤 생산예상량 조사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4-27 320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