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6 10:03:45      ·조회수 : 3,115     


<b><font size=5>
[사설]감귤원 간벌 남의 일인가 </font>

2007년 03월 05일 (월) 제민일보 <font size=3>

감귤원 간벌사업이 갈수록 시들해지고 있다. 행정당국이 나서서 적극 독려해보지만 일부 농가들은 들은 체도 하지 않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신청된 감귤원 간벌 면적은 557.8㏊에 머물고 있다. 올해 목표 물량 1000㏊의 57.8%에 불과한 것이다. 감귤농민들이 당면한 간벌사업을 얼마나 외면하고 있는지를 극명하게 대변해주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간벌 신청량 뿐만 아니라 실제 간벌 실적마저 크게 저조하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지난달 현재 도내 간벌 실적은 제주시 70.2㏊와 서귀포시 141.1㏊에 그치고 있다. 당초 간벌 목표 물량의 21.1%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올 목표 달성은 어림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감귤농민들이 간벌을 기피하는 이유는 뻔하다. 최근 2년동안 감귤가격이 그런대로 안정을 되찾았기 때문이다. 개구리가 올챙이 시절을 잊어버리듯, 과잉생산으로 가격폭락했던 과거의 상처를 어느새 까마득히 잊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감귤농가들이 최근의 감귤가격 호조에 현혹돼 간벌에 동참하지 않는다면 어찌될 것인가. 또다시 가격파동을 맞게될 것이다. 과잉생산에다 불량감귤 유통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러잖아도 2007년산 감귤은 벌써부터 과잉생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금의 전망대로 감귤농사가 대풍을 이루게 된다면 가격폭락은 불보듯 훤한 일이다. 그래서 그 어느때 보다도 감귤원 간벌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감귤원 간벌로 맛있는 우량감귤만을 적정 생산해낸다면 당연히 감귤가격은 오르게 마련이다. 이같은 상식을 누구보다도 더 잘아는 농민들이 간벌에 적극 동참하지 않는 것은 웬 까닭인가. ‘무임승차’를 노리거나, 다 차려놓은 밥상에 수저만 들려는 얌체같은 심보가 아니던가. 감귤원 간벌은 가격회복을 위한 농민생존운동이라는 사실을 재삼 인식해야할 것이다</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 ‘부피과’수출감귤 클레임 주원인 관리자 2006-05-09 3360
48 한·미 FTA 감귤피해 최소화 해법찾기 비상 관리자 2006-05-09 2554
47 감귤산업 ‘한·미 FTA’ 충격파 관리자 2006-05-09 2895
46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 도입, 감귤 품질경쟁력 강화해야” 관리자 2006-05-08 2823
45 감귤산업 보호장치 ‘주목’ 관리자 2006-05-08 3316
44 이달의 새농민 "고석찬.김숙자" 부부 선정 관리자 2006-05-04 2714
43 농작물 병해충 달걀로 해결 관리자 2006-05-04 3403
42 칠레산 오렌지, 내달 국내 상륙 관리자 2006-05-04 2951
41 감귤 맛을 와인으로 느껴보세요 관리자 2006-05-03 3122
40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관리자 2006-05-02 3194
39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관리자 2006-05-02 2978
38 [수입오렌지]다국적청과기업 등 관리자 2006-04-28 3403
37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관리자 2006-04-28 2671
36 토양피복 재배 감귤농가 일반농가보다 소득 높아 관리자 2006-04-28 2574
35 맥 못추는 제주감귤 "어쩌나" 관리자 2006-04-28 4240
34 “감귤육종연구소 설립해야” 관리자 2006-04-27 2691
33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관리자 2006-04-27 2899
32 감귤원 1/2간벌 “힘드네” 관리자 2006-04-27 2552
31 감귤 ‘돌연변이 육종’ 논란 관리자 2006-04-27 3247
30 감귤 생산예상량 조사 수정 검토 관리자 2006-04-27 322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