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5 14:13:15      ·조회수 : 2,895     

<b><font size=5>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font><font size=3>

제주도농업기술원 농업연구사 강 종 훈

지난 겨울동안의 따뜻한 날씨 속에 개나리와 유채꽃이 피어 가고, 어느덧 봄이 성큼 코앞에 다가온 느낌이다.

제주감귤의 대명사인 한라봉이 당도가 낮고 신맛이 강한 저급품 출하로 품질이 예전 같지 않다는 소비자들의 목소리가 자주 들려오고 있다.

지난 2월 7일에서 8일까지 남해안지방 한라봉 재배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남 나주와 고흥지역, 경남 거제지역을 방문한 적이 있다. 제주지역보다 시설조건이 좋지 않고 재배기술도 다소 떨어졌지만 완숙과를 골라 수확하여 당도가 13~16도, 산함량은 0.9~1.2% 정도로 품질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특히, 당도 13~14도 이상 산함량 1.0% 이하의 한라봉의 출하기준을 정하여 대형백화점 및 인근대형도매시장 등에 선별 판매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이 곳 농가들이 제주 한라봉과 품질차별화 노력을 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현재, 남해안의 한라봉 재배면적은 제주의 4.1% 수준이다. 이번 조사결과로 볼 때, 남해안 지역 한라봉은 시설비와 난방비 부담으로 급속히 확대될 가능성은 낮아 보였지만 시설비 등이 보조될 경우에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도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겠다.

우선 산함량이 높은 고접 육성수를 묘목 육성수(M16A)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한라봉의 맛은 산함량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고접 육성수에서는 신맛이 강한 한라봉이 생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품질이 고른 한라봉 출하를 위해 비파괴선과기를 도입 철저한 품질관리 출하시스템 정착 및 명품브랜드 육성도 점차 확대시켜 나가야 하겠다.

지금이 제주 한라봉의 위기라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지 모르겠지만, 전남과 경남의 남해안 따뜻한 지방에서도 품질 높은 한라봉을 생산, 출하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주 한라봉 재배농가들도 한라봉 도입초기의 마음가짐과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가 한다.

끝으로, 이번 남해안 지역 한라봉 재배실태를 견학 다니면서 어느 한 농장에서 눈에 띈 글을 소개하고자 한다.

“자신의 농사는 수익을 내기 위한 사업이다.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사업성패의 책임은 모두 자신에게 있다. 남이 자기대신 농사지어 주지 않고 관리해 주지 않는다. 모든 것은 자신의 탓이다”라는 글로서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문장이었다.

누구도 맛없는 한라봉을 생산하려고 하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소비자를 감동시킬 수 있는 맛있는 한라봉 생산·출하만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제주 한라봉의 옛 명성을 이어가는 길일 것이다.

이제, 심기일전하여 새로운 마음으로 고품질 한라봉 생산에 더욱 노력해야 하겠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89 제주, 덜 익은 비상품 감귤 몰래 유통하려던 선과장 적발 1 기획정보과 2023-09-11 2075
1988 올해산 감귤값 ‘파란불’…부정 유통 막아야 1 기획정보과 2023-09-11 1707
1987 노지감귤 몸값 오르고 있다 1 기획정보과 2023-09-11 1756
1986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 생산량 45만2100톤 전망...제주시 착과량 뚝↓ 1 기획정보과 2023-09-04 1954
1985 감귤 열매까지 '쩍'.. 뜨거운 땅과 바다 1 기획정보과 2023-08-24 1945
1984 "산 함량 낮추는 관수 및 품질관리, 고품질 감귤 비율 높여" 1 기획정보과 2023-08-24 1957
1983 제주도, 풋귤에 농약 검사비·택배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8-18 2195
1982 제주 풋귤축제 1300명 몰리며 성료 1 기획정보과 2023-08-17 2019
1981 시설하우스에 집중된 FTA기금 감귤 지원사업, 이대로 좋은가 1 기획정보과 2023-08-14 1868
1980 "열매 더 맺히긴 했는데..." 고온다습 날씨 생육 영향 1 기획정보과 2023-08-07 2010
1979 "예상은 예상일 뿐.." 제주 하우스온주 가격 상승세 1 기획정보과 2023-08-04 2314
1978 여름과일로 하우스감귤 찾는 소비자 늘었다 1 기획정보과 2023-08-03 2421
1977 서귀포시, 감귤박물관 상설전시실 감귤가공상품 전시공간 참여업체 모집 1 기획정보과 2023-07-31 2652
1976 "제주 감귤재배 어떻게 바뀌나"… 6년만에 전수조사 1 기획정보과 2023-07-31 2526
1975 못생긴 감귤의 우수성, 신례명주 국제품평회 금상 수상 1 기획정보과 2023-07-27 2061
1974 제주감귤박람회 풋귤축제, 내달 15일 시민복지타운서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07-27 2742
1973 "하우스감귤을 최대 37% 싸게 살 수 있다고?" 신한카드, '참신한 제주 농산물 특별전' 진행 1 기획정보과 2023-07-25 2058
1972 [알림]9대도매시장 2023년 하계 임시휴장일 안내 1 기획정보과 2023-07-25 2217
1971 제주 감귤 지켜주던 ‘방풍수’ 이제는 골칫거리로 1 기획정보과 2023-07-20 2201
1970 "제주산 시트러스 서울서 즐겨봐요" 1 기획정보과 2023-07-13 307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