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FTA 농산물 양허안 교환…감귤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6 10:18:31      ·조회수 : 3,093     

한·미,FTA 농산물 양허안 교환…감귤은?
정부 "대부분 농산물 민감품목 선정, 양허대상 제외"
한덕수 위원장 "국회 특위에 협상자료 열람하도록 하겠다"
제주의소리 8/15 이재홍 기자
다음달 6일 미국에서 열리는 한·미 FTA 제 3차 본협상을 앞두고 우리나라와 미국이 14일 농산물과 공산품·섬유분야의 관세인하 양허안을 일괄 교환했다. 이에 따라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류가 어떤 형태로 미국측에 전달됐는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 한덕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지원위원장은 "협상자료 공개수준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최영석 경제공사는 현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한미FTA협상에서 처음으로 양허안을 교환한 만큼 내용은 매우 보수적으로 작성됐다"고 말했다. 쌀을 비롯한 대부분의 농산물을 민감품목으로 정해 양허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공사는 "한국과 미국이 일단은 맥시멈 레벨로 (양허안을) 제시한 후 그것을 베이스로 해서 협상이 진행되면서 양측의 오퍼를 깎게 된다"고 설명했다.
최 공사는 "한·미 양국이 3개월만에 양허안과 유보안을 교환할 정도로 한·미FTA협상은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올해안에 협상을 마무리 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3차 협상은 다음달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다.
최 공사의 발언으로 볼 때 이날 교환된 정부의 양허안에는 일단 감귤류는 민감품목으로 지정돼 양허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관측된다.

감귤이 우리나라 농산물분야 10대 민감품목에 포함돼 있다는 사실은 지난 4일 농림부 주최로 열린 `한미FTA 농업계 대토론회'에서 최세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에 의해 이미 확인된 내용이다.
최 박사가 분석한 '피해분석' 민감도에 따르면 감귤은 부가가치 비중에서 33개 품목 중 29위로 낮지만 관세철폐에 따른 농업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피해액 순위는 8위, 지역집중도는 1위, 호당 재배면적은 4위, 국내자급률은 1위를 차지, 민감도가 매우 높은 품목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피해액 산정 틀이 제주산 감귤이 폭락을 거듭하던 2002~2004년 소득을 기준으로 한데다 교차탄성치와 가격하락률을 사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해 시장개방에 따른 피해액 산출이 축소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한덕수 한·미FTA 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은 14일 KBS 라디오에 출연 "국회의 한·미FTA 특위가 협정문 초안이나 상품 양허안 등 거의 모든 자료를 정부 수준으로 열람할 수 있게 하는 등 협상관련 공개 수준을 이전보다 훨씬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지금까지는 협상이 끝날 때까지 국회에 정보공개를 하지 않고 (협상이) 타결된 후 동의를 요구했는데 앞으로는 (국회) 특위 의원들이 자료를 분석할 수 있도록 비밀취급인가 등을 받은 보좌관을 대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45 중국 통조림(감귤류) 시장 동향 1 기획정보과 2023-06-13 1779
1944 이달 하우스온주 출하량 증가 전망 1 기획정보과 2023-06-13 1913
1943 델몬트 콜드 제주감귤 출시 1 기획정보과 2023-06-07 1897
1942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한 레드향 5·6월 관리요령 1 기획정보과 2023-06-05 2044
1941 완숙 감귤보다 항산물질 2배… 제주 풋귤 재배 는다 1 기획정보과 2023-06-01 2080
1940 고온기 시설 감귤 관리에 유의하세요 1 기획정보과 2023-05-31 2035
1939 서귀포시 농촌 신활력플러스 사업 성과공유회 ‘귤:P 마켓’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05-30 3139
1938 기능성 탁월·지원 확대로 풋귤 생산농장 지정 신청 급증 1 기획정보과 2023-05-23 2525
1937 노지감귤 꽃 착화량 많아, 올해 생산량 폭증? 1 기획정보과 2023-05-18 2396
1936 제주시, 감귤 수출 ‘부담↓-참여↑’ 포장 상자 제작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5-15 2187
1935 감귤·블루베리 해충 ‘알락하늘소’ 포획 장치 보급 1 기획정보과 2023-05-15 2656
1934 제주, 노지감귤 잿빛곰팡이병 예찰 강조 1 기획정보과 2023-05-11 4139
1933 "제주 감귤가격 하락 원인..." 감귤 바이러스를 잡아라 1 기획정보과 2023-05-10 2582
1932 노지감귤 '잿빛곰팡이병' 발생 주의 1 기획정보과 2023-05-09 3099
1931 감귤꽃 향기가 바람에 날리고… 1 기획정보과 2023-05-03 2591
1930 환경 품종 농가열정 고품질 감귤 생산 핵심 비법 1 기획정보과 2023-05-03 2840
1929 [제민포럼] 감귤의 일상과 화이부동 1 기획정보과 2023-05-03 3196
1928 지역경제 활성화·홍보 한번에…잘 나가는 제주 귤, 임실 치즈 1 기획정보과 2023-04-26 2808
1927 제주감귤농협, 2023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 시작 1 기획정보과 2023-04-21 2197
1926 제주 감귤 경쟁력 키우는 ‘감귤본색’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1 기획정보과 2023-04-21 349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