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생산관측 오차 '이유있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7 09:56:26      ·조회수 : 2,746     

감귤생산관측 오차 '이유있다'
제주타임즈 8/17 김용덕 기자
감귤관측정보센터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주자치도 등에 따르면 현재 농업기술원 감귤지원담당이 감귤관측조사 업무를 병행하는 등 전담인력은 단 1명에 불과하다.
이 전담인력이 화엽비 조사와 착과량 조사시 해당 농업기술센터와 행정기관 등의 인력을 지원받아 감귤생산량 관측조사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도농업기술원은 5월에 화엽비를 조사, 1차 생산량을 예측한데 이어 8월에는 착과량을 조사하고 11월에는 당도와 산함량 등 품질조사에 나선다.
5월 화엽비 조사에 의한 2006년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54만t-59만8000t이다. 이는 농촌경제연구원이 7월 발표한 52만t-54만t에 비하면 최저 2만t에서 5만8000t이나 차이나는 수치다.
실제로 2005년산 감귤생산량 관측조사는 농업기술원의 경우 5월 56만5000t에서 8월 52만t으로 조사됐다. 농촌경제연구원은 8월과 11월 조사에서 50만1000t으로 조사, 발표했다. 이는 도농업기술원의 조사 대비 최저 1만9000t에서 6만4000t 차이가 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관측조사에 따른 생산예상량에도 불구, 2005년산 감귤은 무려 60만1000t이 출하됐다. 5월 화엽비 조사결과에 따른 56만5000t과 비교하더라도 4만5000t이나 더 생산된 것이다.
그 결과 각종 초기 데이터와 결과물 데이터간 차이가 발생, 총수익에도 변수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도농업기술원도 이 같은 문제점을 충분히 인식, 지난달 29일 워크숍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 추진키로 했다. 그러나 여전히 구상단계에 머물러 있을 뿐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답보상태에서 나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농업기술원은 워크숍을 통해 현재 2003년 관측용역보고서에 따른 2년 조사를 통해 이뤄지는 감귤관측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자료를 축적, 활용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이를 경우 5년이 경과되면 감귤관측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기초통계가 되는 수령별 면적, 단위면적당 주수, 정밀조사를 5년단위로 실시하고 관측조사자 조사방법에 대한 교육을 강화함은 물론 포상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특히 현재 도농업기술원 감귤지원담당 1명이 하는 인력을 전산직, 통계직을 보완, 7명으로 늘려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조사결과를 다각도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결국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농업기술원 별도조직으로 감귤관측정보센터를 구성, 전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생산관측유통정보 제공기능을 통합시키고 도 사업소로 조직을 개편하는 종합관측정보센터 설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45 중국 통조림(감귤류) 시장 동향 1 기획정보과 2023-06-13 1777
1944 이달 하우스온주 출하량 증가 전망 1 기획정보과 2023-06-13 1913
1943 델몬트 콜드 제주감귤 출시 1 기획정보과 2023-06-07 1896
1942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한 레드향 5·6월 관리요령 1 기획정보과 2023-06-05 2044
1941 완숙 감귤보다 항산물질 2배… 제주 풋귤 재배 는다 1 기획정보과 2023-06-01 2080
1940 고온기 시설 감귤 관리에 유의하세요 1 기획정보과 2023-05-31 2034
1939 서귀포시 농촌 신활력플러스 사업 성과공유회 ‘귤:P 마켓’ 개최 1 기획정보과 2023-05-30 3139
1938 기능성 탁월·지원 확대로 풋귤 생산농장 지정 신청 급증 1 기획정보과 2023-05-23 2524
1937 노지감귤 꽃 착화량 많아, 올해 생산량 폭증? 1 기획정보과 2023-05-18 2396
1936 제주시, 감귤 수출 ‘부담↓-참여↑’ 포장 상자 제작비 지원 1 기획정보과 2023-05-15 2187
1935 감귤·블루베리 해충 ‘알락하늘소’ 포획 장치 보급 1 기획정보과 2023-05-15 2654
1934 제주, 노지감귤 잿빛곰팡이병 예찰 강조 1 기획정보과 2023-05-11 4137
1933 "제주 감귤가격 하락 원인..." 감귤 바이러스를 잡아라 1 기획정보과 2023-05-10 2582
1932 노지감귤 '잿빛곰팡이병' 발생 주의 1 기획정보과 2023-05-09 3099
1931 감귤꽃 향기가 바람에 날리고… 1 기획정보과 2023-05-03 2591
1930 환경 품종 농가열정 고품질 감귤 생산 핵심 비법 1 기획정보과 2023-05-03 2840
1929 [제민포럼] 감귤의 일상과 화이부동 1 기획정보과 2023-05-03 3195
1928 지역경제 활성화·홍보 한번에…잘 나가는 제주 귤, 임실 치즈 1 기획정보과 2023-04-26 2807
1927 제주감귤농협, 2023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 시작 1 기획정보과 2023-04-21 2197
1926 제주 감귤 경쟁력 키우는 ‘감귤본색’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1 기획정보과 2023-04-21 349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