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도의 무사안일주의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8 10:03:17      ·조회수 : 2,940     

제주도의 무사안일주의
제주타임즈 9/18 김용덕 기자
초가삼간 태울려나
제주도가 지난 8월 30일 화염열풍기를 가동하는 기존 선과장에 대해 2010년 6월30일까지 운영이 가능토록 시행규칙을 제정했다. 현실적으로 왁스코팅 단속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그러나 수출용을 제외, 올해산 노지감귤에 대한 왁스코팅 출하를 단속키로 했다. 지난 2004년 7월 개정한 조례에 근거한 것이다.
농가 반발은 불 보듯 뻔하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가 제주시 함덕농협과 서귀포시 남원농협을 방문한 자리에서 농가들은 왁스코팅 허용을 요구했다.
“감귤만 과일이냐, 수입산 과일 모두가 코팅처리해 들어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감귤 왁스코팅만 단속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농가에 돌아온다”
도의회는 이를 수렴, 의원발의를 통해 관련 조례안을 개정, 감귤 왁스코팅 단속 시행 유예 또는 해당문구 폐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도민의 의해 뽑혀진 선량들로서 당연한 의무다. 제주의 생명산업인 농가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조치이기 때문이다.
감귤왁스코팅 문제는 예견된 일이었다. 2004년 당시 도의회 농수축산환경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이 문제를 정확히 짚어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과장 개선을 전제조건으로 집행부가 책임지겠다는 논리에 도의회도 넘어갔다. 결과는 어떤가. 속된 말로 ‘개뿔’이다.
제주도가 왁스코팅 잡기 위해 농가에 피해를 준다면 그야말로 빈대 잡다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감귤국장 책임져야
감귤왁스코팅과 선과장 개선문제는 당시 도의회 농수축산환경위원회의 최고 논란대상이었다. 당시 고두배 감귤과장은 이렇게 말했다.
“싱싱한 감귤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저희들이 나름대로 선과장의 개혁부분에 대해 검토를 해봤다. 지금 전체 선과장 대상이 766개소다. 100평 이상 돼 있는 집진시설을 유하는 부분이 340개소, 솔만 교체할 수 있는 규모가 적은 99평 이하의 선과장이 426개소다. 도에서 30% 지원해주고 시군비 30% 지원하고 자담 40%, 이렇게 했을 때 도에서 13억4000만원의 경비가 소요된다. 도와 시군이 힘을 합쳐 어렵지만 유통개혁에 예산을 들여서 이런 사업을 획기적으로 해야 소비자에게 감귤의 제맛을 제공하고 제값을 받을 것이 아니냐는 생각을 하고 있다. 모든 시설을 교체하는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다. 100% 마무리는 못하지만 욕심을 내서 착수하고 반 이상은 할 수 있는 쪽으로 최선을 다하겠다”
이렇게 해서 선과장 개선 기간 2년을 전제조건으로 감귤왁스코팅 출하금지 조례가 탄생됐다. 말 그대로 욕심을 냈으면 벌써 반은 개선했다. 그러나 된 곳이 없다. 도가 이 부분을 놓고 다시 2010년 6월 30일까지 다시 4년 유예기간을 두었다.
해 놓은 게 없으니 다시 유예기간을 둘 수밖에 없다는 식의 판단은 무사안일이다. 집행부의 말장난에 도의회가 놀아나고 농가는 혼란을 겪고 있는데 책임지겠다는 사람 없다. 집행부가 선과기 구조개선, 농가 및 유통업계,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2년전에 했어야 할 것을 지금에야 홍보하겠다니…. 말에 따른 책임규명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 책임자가 지금 감귤국장이다.
코끼리다리 만지는 격
2004년 당시 도의회 농수축산환경위원회 양대성 위원장은 지금과 같은 왁스코팅논란의 주범을 가려냈다.
“왁스코팅과 선과기의 구조가 서로 맞물리는 시스템속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품질의 신선도라든가 품질을 떨어뜨리고 부패를 촉진하는 요인이 왁스코팅에 있는 것이 아니고 열풍기에 있다. 주범은 화염열풍기다. 거기에 보조적으로 왁스가 작용한 것이다. 타킷은 우리가 주범을 잡아야 하는데 주범은 놔두고 종범을 잡아서 족치는 격이 돼고 있다. 현재의 선과기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간다면 실효성이 없다. 어느 한쪽만 가지고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현명한 대책이 못된다.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선과기 구조를 고치는 것이다. 화염열풍기 자체를 없애야 이 문제가 해결되지 코팅만 가지고 문제가 해결되느냐, 그것은 절대 아니다. 화염열풍기는 그대로 가만히 둔 채로 거론도 하지 않고 코팅만 잘못이라는 것은 핵심을 그대로 두고 먼발치에서 코끼리 다리만 만지는 격이다”
정확한 해법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집행부는 결과적으로 코방귀만 뀐 셈이다.
선과기 구조 개선 2년 유예기간동안 가만히 있다가 왁스코팅 단속만 하겠다니 농가의 반발은 불 보듯 뻔한 게 아닌가.
그나마 유통명령제로 감귤 값 제 값 받은 게 다행이었다. 안그랬다면 집행부는 아마 초상집아니었을까.
김 용 덕 (경제부장)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27 제주감귤농협, 2023년산 하우스감귤 첫 출하 시작 1 기획정보과 2023-04-21 2206
1926 제주 감귤 경쟁력 키우는 ‘감귤본색’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1 기획정보과 2023-04-21 3507
1925 제주 감귤, 러시아 막히자 동남아로 간다 1 기획정보과 2023-04-21 2917
1924 예산 사과·제주 감귤 담은 ‘백종원 맥주’ 나온다...“지역 농가 활성화” 1 기획정보과 2023-04-21 2374
1923 기후변화가 불러온 '해충의 시대'... 감귤해충 5종 새로 확인 1 기획정보과 2023-04-14 2037
1922 제주, 한라봉.천혜향.레드향 소비촉진 할인 판매행사 진행 기획정보과 2023-03-02 2980
1921 제주, 감귤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 추진 기획정보과 2023-03-02 2485
1920 싱가포르에서 대박 친 겨울 감귤 ‘윈터프린스’ 기획정보과 2023-02-20 2617
1919 [독자기고] 감귤묘목 구입과 판매는 서로 신중하게 기획정보과 2023-02-20 2799
1918 '2023년 제주 행복만감 222 페스티벌' 개최 기획정보과 2023-02-20 2310
1917 제주 만감류 농가 돕기 ‘할인 판매’ 기획정보과 2023-02-15 2554
1916 고물가에 지갑 닫자 제주 만감류 가격 약세 전환 기획정보과 2023-02-15 3026
1915 만감류, 2월 이후 출하 늘 듯 기획정보과 2023-02-15 3018
1914 미국산 오렌지 작황부진 심각…국내 봄철 과일시장 출렁일까 기획정보과 2023-02-08 2945
1913 제주농업기술원, 신품종 만감류 농가 실증재배 확대 추진 기획정보과 2023-02-08 3047
1912 폭설·한파로 감귤 2만t 피해 발생 기획정보과 2023-02-08 2425
1911 제주도, 극조생감귤 고접갱신 지원한다 기획정보과 2023-02-08 2715
1910 한겨울 식탁에서 만나는 즐거움, 만감류 요리 기획정보과 2023-01-31 2618
1909 “고품질 감귤 생산기반 조성 최선 다할것” 기획정보과 2023-01-31 2770
1908 감귤 품종전환 등으로 성목면적 꾸준히 감소 기획정보과 2023-01-20 231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