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14 09:21:24      ·조회수 : 2,201     


<b><font size=5>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font><font size=3 color=blue>

한미FTA 7차협상 의견차…제주방문단 잇단 면담 </font>

2007년 02월 14일 (수) 제주일보 <font size=3>


제7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이틀째인 12일(현지시각)부터 농업분과 협상이 본격화되면서 감귤류 향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함께 김태환 제주도지사도 이날 오전 협상이 열리고 있는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해 민관합동 방문단에 합류, 감귤류가 협상품목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활동도 탄력을 받고 있다.

김 지사를 비롯한 방문단은 이날 저녁 워싱턴 코트호텔에서 열린 한미FTA 협상단 환영 리셉션에 참석, 김종훈 대표 및 웬디 커틀러 대표 등 양측 수석대표를 만나 감귤이 협상품목에서 반드시 제외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김 지사는 “제주의 감귤이 쌀과 같이 반드시 협상품목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주길 부탁한다”며 “감귤을 살리게 된다면 양측 대표를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는 “올 줄 몰랐는데 다시 만나서 반갑다”고 인사하고 특히 “제주 감귤은 언제나 내 마음 속에 있다(Jeju Mandarine is always in my mind)”며 감귤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표현하기도 했다.

김종훈 수석대표도 “혹시 제가 잘못하게 있느냐. 저에게도 (제주도)명예시민증을 줄 수 있느냐”며 반가움을 표시하고 “감귤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미FTA 농업분야 협상은 오는 14일까지 계속되며 협상 마지막 날 제주 방문단과 우리측 농업분야 협상팀의 간담회가 예정돼 농산물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협상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김종훈 대표 및 웬디 케틀러 대표, 미축측 농업분야 협상팀과의 간담회 일정이 아직 확정되지는 않아 앞으로 남은 이틀 동안 실제 만남이 이어질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이날 열린 농업분야 협상에서는 양측의 의견차로 별다른 진전을 이뤄내지 못했다. 특히 8차 협상이 기정 사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업분야는 7차, 8차 협상을 넘어 최고위급 수준에서 최종 마지노선이 결정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05 [귀농 전에 꼭 가봐야 할 100대 농장] 김종우 명인의 고품질 감귤 생산 비결…혁신과 차별화 기획정보과 2023-01-19 2739
1904 고품질 명품 감귤 육성, 올해 1048억 투입 기획정보과 2023-01-10 3056
1903 농촌경제연 "1월 귤값 지난해보다 비싸고 딸기는 저렴" 기획정보과 2023-01-10 2544
1902 [맛대맛] ‘새콤달콤’ 한입의 행복, 감귤 열전 기획정보과 2023-01-10 2551
1901 귤인 듯 귤 아닌 ‘금감’ MZ세대 ‘취향저격’ 기획정보과 2023-01-10 3157
1900 24가지 매력, 국내품종 감귤…‘윈터프린스’ ‘탐나는봉’ ‘미니향’ ‘미래향’ 주목 기획정보과 2023-01-10 2444
1899 쓰고매운 귤 껍질이 지닌 의외의 중요한 기능 기획정보과 2023-01-10 3635
1898 고품질 출하로 노지감귤 가격 상승 이어가길 기획정보과 2022-12-29 2741
1897 제주도, '신품종 감귤 품종보호권 처분' 사전 설명회 개최 관리자 2022-12-29 2370
1896 감귤 소비트렌드 어떻게 달라졌나 기획정보과 2022-12-29 2458
1895 뉴질랜드 감귤수출, 판로 확대 계기로 기획정보과 2022-12-29 2973
1894 상자 속 귤, 곰팡이 피지 않게 하는 비법 기획정보과 2022-12-26 3027
1893 [제민포럼]빅데이터 활용 농가 수익 증대 기획정보과 2022-12-26 2452
1892 감귤 수출 검역협정 체결 없어 수출하고 싶어도 못한다 기획정보과 2022-12-26 2798
1891 연이은 한파에 미수확 노지감귤 피해 ‘비상’ 기획정보과 2022-12-26 3096
1890 ‘겨울 보약’ 귤…좋은 걸로 잘 먹는 법 기획정보과 2022-12-14 2207
1889 “샤인머스캣 꼴날라”…만감류 ‘적기출하’ 자성론 부상 기획정보과 2022-12-14 2152
1888 버려지는 감귤 부산물, 버섯 배지 활용 기획정보과 2022-11-30 2767
1887 롯데슈퍼에 제주 감귤 100톤 쏟아진 이유는… 기획정보과 2022-11-30 2917
1886 제주도, 2023년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지원 기획정보과 2022-10-07 344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