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12 14:08:37      ·조회수 : 3,524     

감귤시장 개방 유보 이끌 수 있나
정부,쌀 양허대상서 제외하고 감귤 '민감품목' 지정 방침
미국 "쌀 등 농산물 시장 개방 예외없다" 압박
제주의소리 7/11 이재홍 기자

한·미FTA 2차 본협상이 10일부터 시작돼 감귤분야가 어떻게 다뤄질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미국측은 물론 우리 정부도 협상내용을 철저히 비밀에 부치고 있어 어떤 협상카드가 오고 가는지를 가늠하기 힘들어 농가의 불안이 커져만 가고 있다.



▲ 한미 FTA 2차 협상 개시일인 10일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 민간대책위원회가 주최하는 환영 만찬에 참석한 김종훈 수석대표와 웬디 커틀러 미국측 수석대표가 심각한 표정으로 환영사를 듣고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달 워싱턴에서 열린 1차 본협상에서 협정문 작성에 실패한 농업분야인 경우 SSG(농산물 특별긴급관섹),TRQ(저율관세할당)을 놓고 한미 양측이 대립하고 있는 상태다. 또 위생 및 검역(SPS)은 WTO기준에 따르는 것으로 합의됐으나 미국측이 신속한 통관을 위해 검역을 논의할 기구를 상설화할 것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FTA협상 농업부문 초안에서 무역을 과도하게 저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미국과 협상을 통해 수입쿼터(TRQ, 저율관세할당)를 관리하고, 수입가격이 기준가력 이하로 하락하거나 수입물량이 급증할 경우 자동으로 관세를 인상(SSG, 특별긴급관세)한다는 방침이다. 또 위생 및 검역에 관한 사항은 WTO 위생 및 검역(SPS) 협정상의 권리와 의미를 재확인 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우리 측은 쌀을 양허대상서 빼기로 정한 상태이며 개방경쟁력이 취약한 감귤과 콩, 보리 등도 민감품목으로 지정해 개방을 유보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미국측 웬디 커틀러 협상대표는 협상 첫날부터 "이번 협상에서 미국산 쌀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임은 비밀이 아니"라면서 쌀 시장도 개방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강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1425개 품목에 달하는 농산물의 예외 없는 개방을 요구하고 있다.

한미 양측은 이번 2차 본협상에서 농업과 SPS 분야 통합 협정문 합의를 이끌어 낸다는 방침이다.

이럴 경우 우리나라가 취약한 농업부문과 미국이 부담스러워하는 섬유분야의 특별긴급관세를 놓고 양측이 연계해서 결정될 전망이다. 서로 자국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긴급관세를 주고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TRQ(저율관세할당) 운용은 우리가 농산물 관세를 얼마나 내리고, TRQ물량을 얼마만큼 늘려주느냐에 따라 미국의 압박 수위가 달라질 전망이다.

저율관세할당은 일정한 물량에는 저율관세를 부과하고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 대해서는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이중관세 제도중 하나다. 예를 들어 감귤류에 TRQ물량을 5만톤으로 결정한다면 5만톤까지 수입할 경우 저율관세를 부과하는 그 이상 수입되는 물량에 대해서는 관세가 껑충 뛰어 UR협상 양허관세인 50%~144%를 부과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양허관세는 오렌지는 50%, 오렌지쥬스는 55%, 그리고 감귤과 같은 만다린류는 144%가 부과되고 있다.

미국은 TRQ 제도와 관련해 수입농산물을 가공용으로 쓰는 등의 특정용도로 한정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농산물유통공사에서 농산물 수입을 맡고 있는 국영무역 사업을 폐지해 민간기업이 자유롭게 수입할 수 있도록 하며, 수익이익금을 농안기금 등에 적립해 우리나라 농업보조에 사용하는 것을 폐지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65 올해 노지감귤 착과수 4% 감소…생육은 양호 기획정보과 2022-08-09 2479
1864 제주시, 올해산 풋귤 사전 출하농장 201농가 지정 기획정보과 2022-07-20 2867
1863 만성 콩팥병 환자, 사과·귤 등 ‘식이섬유’ 먹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22-07-20 2684
1862 2021년 산 제주 감귤 조수입 1조 원 돌파… 사상 처음 기획정보과 2022-07-19 2460
1861 제주감귤농협, 올해산 하우스감귤 수출 개시 기획정보과 2022-07-19 1878
1860 제주감귤 틈새시장 풋귤 경쟁력 높인다 기획정보과 2022-07-19 3166
1859 [제민포럼]지구온난화 대응 감귤생존 전략은 철학적 시선에서 기획정보과 2022-07-19 4169
1858 "7월 사과·거봉 포도 작년보다 비싸고 복숭아·감귤은 저렴" 기획정보과 2022-07-19 2600
1857 서귀포 습한 날씨에 감귤 품질 비상 기획정보과 2022-07-19 3210
1856 제주 시설감귤 비닐→뽁뽁이 전환, 품질.보온 둘 다 잡았다 기획정보과 2022-05-25 3323
1855 서귀포지역 감귤재배면적 되레 늘었다 기획정보과 2022-05-25 2484
1854 감귤꽃이 왜 늦게 피나 했더니… 기획정보과 2022-05-25 3531
1853 과일 소비 성향, 값보다는 질 중시 ...연간 소비량은 줄어 기획정보과 2022-05-10 3409
1852 과일 소비 5년간 감소세...수입산 거부감↓ 기획정보과 2022-05-10 2839
1851 이대로 가면 귤 재배 지역 강원도까지 올라간다 기획정보과 2022-04-14 2971
1850 제주 고품질 감귤 거점 과원 단지 육성 기획정보과 2022-04-14 3172
1849 노지 감귤 꽃 피는 시기 맞춰 해충 방제 신경써야 기획정보과 2022-04-14 2633
1848 "제주 풋귤,피부 주름 개선효과" 기획정보과 2022-04-07 2744
1847 국내 육성 감귤품종 로열티 받고 첫 미국진출 기획정보과 2022-03-28 3062
1846 감귤, '제주산' 아니라 '국내산' 되나? 기획정보과 2022-03-03 315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