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4 15:27:38      ·조회수 : 2,370     

<p></p>
<font size="5"><b>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b></font>

<font size="4" color="blue">특별도의회 "실현 가능성 희박"

제주도 "FTA대비 경쟁력 향상"</font>

<font size="3">한라일보 12/4 백금탁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중인 미숙감귤을 이용한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사업에 대

해 도의회 차원에서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제주도는 현재 이 사업과 관련 미국의 MIT공대와 공동연구하고 있는 국책

사업이라고 맞서고 있다.

 3일 제주도의회 현우범 의원과 국내 연구진, 감귤 관련 전문가 등은 제주자치도

가 올해부터 오는 2010년까지 4년간 총 10억9천만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에 대해 이

미 1980년대에 연구된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이 사업과 관련 제주도는 최근 FTA와 WTO 등 농산물 개방에 따른 국제 경

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미

숙감귤의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여기에다 첨단 바이오기술을 적용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원료 등으로 개발할 계획을 수립했다.

 감귤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변환기술(컨버터

기술)을 이용해 신기능성 물질을 개발, 산업화로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1단계 기초조사와 2단계 산업화 연구개발 사업으로 나눠 모

두 10억9천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제주대학교, 하이테크산업진흥원, 농업기술원,

MIT공대 등 국내·외 첨단연구팀이 공동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우범 의원은 지난 1일 2007년도 지식산업국 등에 대한 예산

안 심사에서 "올해 확보된 이 사업의 1단계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 가능성 조사연

구'에 대한 사업비 1억원은 카이스트 연구진과 감귤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2

천만원이면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제주도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

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또 현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개발하려는 기능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헤스페리

딘, 나리루틴, 노빌레틴 등은 감귤이외에 다른 식물 등에도 다량 함유된 물질"이

며 "도내 감귤박에 대한 전문가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이 연구는 이미 지난 80·90년

대 중반에 이뤄진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이 사업과 관련 논란이 제기되며 실효성 문제에 있어 정확한 재검토와 함

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67 제주 감귤 재배면적 사상 첫 2만㏊ 이하로 줄었다 기획정보과 2022-08-09 2581
1866 하우스 감귤 출하 몰리며 가격 하락세 기획정보과 2022-08-09 2871
1865 올해 노지감귤 착과수 4% 감소…생육은 양호 기획정보과 2022-08-09 2513
1864 제주시, 올해산 풋귤 사전 출하농장 201농가 지정 기획정보과 2022-07-20 2940
1863 만성 콩팥병 환자, 사과·귤 등 ‘식이섬유’ 먹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22-07-20 2761
1862 2021년 산 제주 감귤 조수입 1조 원 돌파… 사상 처음 기획정보과 2022-07-19 2498
1861 제주감귤농협, 올해산 하우스감귤 수출 개시 기획정보과 2022-07-19 1908
1860 제주감귤 틈새시장 풋귤 경쟁력 높인다 기획정보과 2022-07-19 3179
1859 [제민포럼]지구온난화 대응 감귤생존 전략은 철학적 시선에서 기획정보과 2022-07-19 4200
1858 "7월 사과·거봉 포도 작년보다 비싸고 복숭아·감귤은 저렴" 기획정보과 2022-07-19 2619
1857 서귀포 습한 날씨에 감귤 품질 비상 기획정보과 2022-07-19 3276
1856 제주 시설감귤 비닐→뽁뽁이 전환, 품질.보온 둘 다 잡았다 기획정보과 2022-05-25 3374
1855 서귀포지역 감귤재배면적 되레 늘었다 기획정보과 2022-05-25 2519
1854 감귤꽃이 왜 늦게 피나 했더니… 기획정보과 2022-05-25 3565
1853 과일 소비 성향, 값보다는 질 중시 ...연간 소비량은 줄어 기획정보과 2022-05-10 3482
1852 과일 소비 5년간 감소세...수입산 거부감↓ 기획정보과 2022-05-10 2864
1851 이대로 가면 귤 재배 지역 강원도까지 올라간다 기획정보과 2022-04-14 2985
1850 제주 고품질 감귤 거점 과원 단지 육성 기획정보과 2022-04-14 3191
1849 노지 감귤 꽃 피는 시기 맞춰 해충 방제 신경써야 기획정보과 2022-04-14 2672
1848 "제주 풋귤,피부 주름 개선효과" 기획정보과 2022-04-07 282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