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4,039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49 노지 감귤 꽃 피는 시기 맞춰 해충 방제 신경써야 기획정보과 2022-04-14 3150
1848 "제주 풋귤,피부 주름 개선효과" 기획정보과 2022-04-07 3260
1847 국내 육성 감귤품종 로열티 받고 첫 미국진출 기획정보과 2022-03-28 3554
1846 감귤, '제주산' 아니라 '국내산' 되나? 기획정보과 2022-03-03 3892
1845 롯데마트, ‘캠핑갈때 감귤’ 출시…캠핑族 겨냥 기획정보과 2022-03-03 3752
1844 “충남감귤 어떠세요” 황금‧레드향 등 재배 증가세 관리자 2022-02-22 3702
1843 레드향, 천혜향 인기… 감귤류 건강 효능은? 기획정보과 2022-02-15 4332
1842 러시아, 제주산 노지감귤에 반했다…수출 날개 기획정보과 2022-02-15 3658
1841 과일 수입액 1조7000억…국내 생산액 30% 달해 기획정보과 2022-02-14 4341
1840 “감귤 재배 배울래요”… 신참 농부 농업교육 인기 기획정보과 2022-02-10 3401
1839 제주농협 만감류 감귤 가격지지 위해 뭉쳤다 기획정보과 2022-02-08 3908
1838 북한에 감귤 보내기 재개 되나 ‘제주 5+1 구상’ 기획정보과 2022-02-07 3476
1837 경주, 감귤류·멜론 등 아열대 과일 재배 ‘잰걸음’ 기획정보과 2022-02-07 4135
1836 귤로 전을 부치다.. 몸의 변화가? 기획정보과 2022-01-28 3798
1835 감귤 명품 브랜드단지 '혁신의 밀알' 기획정보과 2022-01-28 2989
1834 감귤 산지폐기 폭증에 제주도 “가공용 처리 가능” 기획정보과 2022-01-28 4224
1833 제주시, 2022년 FTA기금 15개 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22-01-27 3842
1832 ‘당도 12브릭스’ 도전…제주 감귤 품질 혁신 나선다 기획정보과 2022-01-27 3569
1831 제주시 감귤원 1/2 간벌 스타트…99㏊ 목표 기획정보과 2022-01-27 3598
1830 美오렌지 흉작 소식에 주스가격 급등 기획정보과 2022-01-19 293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