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04 13:24:31      ·조회수 : 3,511     

▲20세기초 프랑스 출신의 타케신부가 감귤주산지인 서귀포지역에 온주밀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지금은 옛서홍성당자리에 한그루만이 남아 있다. /사진=한라일보DB
<p></p>
<font size="5"><b>[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 </font></b>

<font size="4" color="blue">경제작물 재배 1세기… 개방여파 위기

천년의 감귤역사… 20세기초 온주밀감 도입

박영효·타케 신부 등 제주시·서귀포서 재배</font>
<font size="3">
○…'생명산업'인 제주감귤은 그동안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으며 지금도 개방파고에

서 힘겨운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한·미FTA, 한·중FTA, 한·일FTA 등 개방협

상은 제주감귤을 더욱 위기로 내몰고 있는 상황이다. 한라일보는 '근대감귤 100

년'을 맞아 지난해 10월 한미FTA 제주 4차협상에 맞춰 '제주감귤 100년' 연중기획

을 시작했다. 본보는 올해에도 한·미FTA, 한·일 및 한·중 FTA 등 연쇄 개방협상, 제

주감귤의 현주소, 발전방안 등에 대해 감귤농가, 독자들과 함께 해법을 모색하기 위

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한다.…○

# 제주감귤의 역사

 고려와 조선시대에도 제주에는 많은 감귤원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조정에 진

상품 생산을 위한 것이어서 주민소득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오히려 관의

통제에 의한 재배로 그 민폐가 막심했다. 감귤원을 맡은 농민들은 생산량을 채우지

못하면 불이익을 받게 되므로 일부러 귤나무를 고사시키는 일이 잦았다. 진상제도

는 조선조 고종 31년(1893년)에 이르러 폐지되었으나 농민들은 감귤재배에 큰 관심

이 없었다.

 기록으로만 보더라도 천년이 넘은 역사를 간직한 제주감귤은 근대적 의미의 산업

으로 도입된지도 1백년전인 20세기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주감귤은 일제 강점기를 전후해 전환기를 맞는다. 이 때가 경제적 소득을 목적

으로 감귤이 재배되기 시작한 시기다. 근대적 의미의 제주감귤재배의 시작이다.

 그 효시는 개화파의 주역인 박영효로 전해진다. 박영효는 1884년 김옥균 등과 함

께 일으킨 정변으로 일본에 망명한 후 1907년 9월에는 제주도에 유배되어 1년간 적

거생활을 했다. 그 후로도 유배기간을 합쳐 3년간 제주에 머물렀다.

 그러나 박영효가 제주에 거주하는 동안 원예작물의 재배를 널리 장려한 인물이었

다는 사실은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제주도 기후가 일본과 흡사하다는 데서

도민에게 원예작물을 보급한다. 개량 감귤을 비롯해 토마토, 가지 등의 재배와 보급

에 힘을 기울인 것도 바로 이 시기다.

 그는 개량 감귤을 제주시 구남천(구남동)에 심었으나 그가 제주를 떠난 후에는 점

차 자취를 감춰 아직까지 남아있는 것은 한 그루도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제주도실기'에 따르면 '1910년부터 일본 귤목을 식부하고 관청에서 장려하여 매

년마다 생산량이 많아져 갔다. 산남 서홍리는 일본 사람이 대규모로 경영한다"고 기

록하고 있다고 백자훈 전 제주대교수가 전했다.

 감귤주산지인 서귀포 지역 도입자는 20세기초 프랑스 출신의 타케(Emile

Joseph Taquet, 1873∼1952, 한국명 嚴宅基) 신부가 효시로 전해진다. 성직자이자

식물학자인 타케신부가 감귤주산지인 서귀포지역에 온주밀감을 처음 도입했다는 사

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때가 20세기에 들어와 1911년의 일이다. 훗날 우리

나라 최대 감귤주산지로 탈바꿈한 서귀포지역 온주밀감 재배가 타케로부터 시작된

다.

 타케는 모두 14그루의 감귤을 심었으나 지금은 옛 서홍성당 자리에 1그루만 남아

있다.

이를 흥미있게 지켜보던 사람은 서귀포에서 상업을 하던 일본인 '미네'였다. 그는 타

케의 경험으로 서귀포 지역에서도 온주밀감의 재배가 가능한 것을 보고 1913년에 많

은 묘목을 도입해 서귀읍 서홍리에 심었다. 이 때 조성된 과원이 제주농원이며, 이

는 처음으로 규모를 갖춘 큰 농장이었다. 이후 하논분화구 경사지 등으로 재배범위

가 확대되었다.

 일제때 감귤재배가 권장되었으나 재배기술은 그다지 발전하지 못했다. 제주감협

40년사는 "감귤재배에 관심을 가진 농가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일제 탄압하의 농

가경제의 여건으로 보아 감귤원 개원은 고도의 기술과 자본조달에 자신을 가진 특수

농가만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했다. 일반 농가는 개원하는 농가가 별로 없었던 까닭

에 몇 그루씩 정원수로 심는데 그치고 재배면적의 확대가 극히 지지부진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4.3사건과 6.25로 생활터전마저 잃은 농민들이 많아 감귤에 관심을 가질 여유

조차 없었다.

 50년대 중반부터는 감귤재배농가가 점차 확대되어 나갔다. 1964년에 이르러 당시

박정희대통령이 제주 연두순시에서 "제주감귤을 적극 장려할 것"을 특별지시함으로

써 감귤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됐다. 감귤이 이른바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자

리잡게 된 것이다.

 이같은 증언과 기록은 감귤이 '대학나무'로 회자되면서 생명산업으로 제주경제에

버팀목이 되기 시작한지 1세기가 됐음을 뜻한다. '근대감귤 100년'은 감귤산업이 제

주경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지위로 볼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근·현대 제주사에서

감귤은 제주 제1의 '효자산업'으로 발전해 왔다. 제주의 경제적 부흥은 감귤이 주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로 이 시기에 제주감귤은 다가올 1세기를 담보할 수 있는 산업으로 성장을 계

속 구가할 수 있을지 중대 기로에 섰다. 제주감귤은 1세기가 지난 21세기에 다시 시

련을 겪고 있다.

/강시영기자 sykang@hallailbo.co.kr

감귤보호는 생존권 걸린 절규

95년 UR출범 개방후 감귤산업 '직격탄'

한미FTA 충격파 제주경제 몰락 위기감

 '태풍의 눈'으로 다가온 한미FTA 협상은 제주감귤의 위기 국면을 한마디로 웅변

하고 있다.

 올해 타결이 예상되는 한미FTA 협상에서 제주의 최대 관심은 오렌지 등 감귤류

에 대한 협상에 쏠려 있다.

 우리 정부가 수정 양허(개방)안에 감귤류를 관세철폐 제외품목에 포함시켜 협상

에 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여전히 미국은 농산물 분야 품목의 경우 "예외없는

관세철폐"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런 분위기속에서 우리측이 감귤류의 관세철

폐 제외품목 기조를 확고하고 일관되게 유지하며 협상에 임할지가 관심사다.

 제주 감귤농가들은 세계무역기구 UR 출범 이후 감귤산업의 쓰라린 경험을 잊지

못한다. 95년 UR 출범 이전 까지만 해도 제주 감귤산업은 지역총생산액(GRDP)의

20%를 점유했다. 94년 당시 감귤조수입은 5천5백21억원에 이르렀다.

 그러나 UR 출범에 따른 시장개방으로 감귤산업은 큰 위기를 맞았으며 농가들에

큰 시련을 안겼다.

 오렌지 등 외국산 신선과일 수입량이 매년 급증하면서 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

간 제주감귤은 사상 유례없는 유통혼란과 가격폭락사태를 겪었다. 생산비도 건지지

못하는 마이너스 소득으로 감귤산업은 몰락위기에 직면했다.

 농가들은 피눈물나는 구조조정과 생존적 차원의 자구노력을 펼쳐 왔으며 희미하

게 나마 감귤회생 기반을 어렵게 만들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충격을 딛고 채 일어서기도 전에 한미FTA 협상이 제주농가들을 다시 짓누

르고 있는 것이다. 한미FTA 협상 자체를 거부하고 무효화를 주장하는 제주도 농가

들의 목소리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권이 걸린 절규나 다름없다.

</font>

<b>[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47 한림농협, 우리지역 농산물 경쟁력 강화 위한 유통간담회 개최 총무기획부 2025-05-20 416
2146 제주 농수축산물, 현대홈쇼핑 통해 전국으로 판매 확대 총무기획부 2025-05-20 396
2145 제주 대정농협 채소류 출하 조절센터 본격 운영 총무기획부 2025-05-16 425
2144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안덕면 마늘농가 수확 일손 돕기 나서 총무기획부 2025-05-15 387
2143 제주농협 , 2025 영농 지원 발대식 총무기획부 2025-05-13 413
2142 2025년산 노지감귤 가격안정관리제 수립현장 의견 수렴 총무기획부 2025-05-12 355
2141 "제주에서 온 봄은 어떻게 서울을 흔들었나?"..카라향·골드키위, 봄의 정점에 향을 흩날리다 총무기획부 2025-05-07 448
2140 제주 월동채소 급감 농민-유통시장까지 악영향 확대 총무기획부 2025-04-29 411
2139 제주산 브로콜리 포장 개선···해상운송에도 '싱싱' 총무기획부 2025-04-29 409
2138 [카드뉴스]창립 1주년을 맞아 재래시장·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전개 총무기획부 2025-04-25 638
2137 [기고]농산물 수급안정의 시작, "토양생태환경보전사업"에 주목해야 총무기획부 2025-04-25 442
2136 재래시장 제주농산물 애용하기 캠페인 총무기획부 2025-04-24 422
2135 제주 월간 무역수지 16년 4개월 만에 흑자 총무기획부 2025-04-22 599
2134 '미국산 공세에'...직격탄 맞은 제주도 만감류 시장 초비상 총무기획부 2025-04-22 606
2133 선별 · 저장 기술 현장 적용 확대로 '농산물 수급 안정' 총무기획부 2025-04-21 411
2132 2025년 제주 조생양파 소비지 판촉행사 참여 총무기획부 2025-04-21 736
2131 전직원 수입안정보장보험 관련 교육 수강 총무기획부 2025-04-18 576
2130 제주조공, 센터 방문하여 감귤 수급안정지원사업 논의 총무기획부 2025-04-15 624
2129 제주농협, 올해산 조생양파 280억 판매 목표 통합마케팅 추진 총무기획부 2025-04-14 285
2128 조천농협, 산불 피해 지역 '천혜향' 지원 총무기획부 2025-04-08 43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