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타과일동향-배]작황부진…저장량도 줄듯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6-10-31 12:10:19      ·조회수 : 2,208     

<신고〉배는 긴 장마와 고온건조한 날씨로 인해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가뭄 영향으로 과가 제대로 크지 못해 대과 물량이 크게 줄었다는 게 산지 및 시장 관계자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하다. 이로 인해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신고〉 전체 생산량은 전년 대비 10% 내외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정인호 경기 평택과수농협 상무는 “가을 가뭄이 심한 탓에 과실 비대가 안돼 대과 물량이 지난해보다 10% 정도 적다”며 “정상과가 예년보다 적어 특품 비율이 많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충남과 전남지역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충남 아산지역은 일기불순 피해, 전남 나주지역은 검은무늬병 피해가 심해 생산량이 10% 이상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나주지역은 대과 비율이 지난해보다 25%가량 줄었다고 한다.

경기 안성과 충남 연기 조치원지역의 경우 올 봄의 우박 피해가 생산량 감소 요인이 됐다. 홍상의 안성과수농협 상무는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비슷하지만 봄에 우박 피해와 가뭄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20~30% 줄었다”고 말했다. 안성지역의 경우엔 대과 생산량이 예년의 절반 정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올 〈신고〉 저장량은 지난해보다 다소 적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생산량이 감소한 데다 과가 잘고 정품 비율이 낮아 저장에 들어갈 수 있는 물량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장기 저장이 가능한 고품질 대과 중심으로 산지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고, 값도 지난해보다 높게 형성되는 상황이다.

이운휘 아산 둔포농협 판매담당은 “올해는 상인들의 움직임이 예년보다 활발하다”며 “고품질 배가 적어 거래단가가 한봉지당 600~700원으로 지난해보다 100~200원 높았다”고 설명했다.

앞으로의 값은 지난해보다는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하는 경매사들이 많다. 산지 농가들도 전체 물량이 적고, 대과가 많지 않아 기대심리가 높은 편이다.

이영신 ㈜중앙청과 영업본부장은 “전체적으로 물량은 적지만 당도 등 맛이 좋아 값은 지난해보다 높게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특품 비율이 낮고 대과가 적어 상·하품 간 가격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게 중론이다. 고태종 농협가락공판장 경매과장은 “15㎏ 기준 1단위(20개 미만)의 물량이 적어 품질에 따른 값 차이가 예년보다 크게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 출처 : 농민신문('06.10.30) -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67 하우스감귤 하락세...출하 조절 등 가격지지 노력 요구 기획정보과 2021-07-26 3600
1766 '제주감귤20년' 재배품종 지형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21-07-22 3264
1765 제주,잇딴 폭염에 노지감귤 병해충 '볼록총채벌레'급증 기획정보과 2021-07-16 3887
1764 제주감귤 판매액 사상 처음 9500억 넘어 기획정보과 2021-07-13 2703
1763 올해산 노지감귤 차과 5.5%감소...추가 낙과 우려 기획정보과 2021-07-12 2816
1762 제주서 감귤 등에 막대한 피해 오리엔탈과실파리 발견'초긴장' 기획정보과 2021-07-09 3295
1761 하우스 감귤 가격 호조..철저한 품질 관리 요구돼 기획정보과 2021-07-02 3110
1760 친환경 인증 노지감귤 재배방법 한눈에 기획정보과 2021-06-23 2439
1759 전라도 감귤농업, 우리가 몰랐던 사실들 기획정보과 2021-06-23 3662
1758 맛좋은 제주 하우스감귤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21-06-23 2589
1757 제주기고]제주경제 버팀목, 제주감귤 살리기 기획정보과 2021-01-05 3666
1756 쉽게 무르는 겨울 과일'감귤'보관 요령은 기획정보과 2021-01-05 3393
1755 감귤, 곰팡이 피면 즉시 버려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21-01-05 3781
1754 친환경감귤에 해충 깍지벌레류 방제 기획정보과 2019-05-22 4020
1753 추석 앞두고 감귤 강제착색 등 첫 적발,, 기획정보과 2018-09-20 4350
1752 고품질감귤 생산'열매솎기'남았다 기획정보과 2018-09-06 3838
1751 서귀포시 감귤박물관,감귤따기체험장 확장 및 신설로 마련 기획정보과 2018-09-06 3973
1750 지난해 감귤 조수입 2000년대 이후 최고 기획정보과 2018-07-27 3406
1749 제주 감귤2년째 역대 최고 기록 경신 기획정보과 2018-07-27 5724
1748 현장취재]폭설로 감귤하우스 붕괴, 40대 제주 귀농인 오현택씨 기획정보과 2018-02-20 564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