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2 09:53:44      ·조회수 : 2,370     

감귤 피해 최소화 대책 시급
美, 한 ·미 FTA서 ‘농업시장 개방 확대’ 초점
제주일보 6/12 김태형 기자
한 ·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이 본격화되면서 감귤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화된 설득논리 마련과 대중앙 절충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음달 10일부터 열리는 2차 공식협상에서 농업부문 전반에 대한 양측 간 입장 조율이 이뤄질 예정이어서 감귤산업 향방을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한 ·미 양국은 지난 9일 15개 분과 중 11개 분과에 대한 통합 협정문을 작성하는데 합의하고 첫번째 협상을 마무리했다.

최대 쟁점 분야였던 농업 분과에서는 양측 간 큰 입장차를 보이면서 위생검역, 섬유, 무역구제 등과 함께 다음달 재논의를 거쳐 추후 통합 협정문을 마련키로 했다.

농업분과 협상에서 우리 측은 농산물 시장 보호를 위해 수입물량 급증 및 가격 급락시 양허세율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을 주장했다.

반면 미국 측은 일정 물량에 대해 낮은 관세를 부과하는 저율관세수입물량(TRQ) 운영의 상세 절차를 협정문에 규정하자며 대립각을 세웠다.

미국 측의 입장은 한국 농산물 시장 개방 폭을 넓히겠다는 뜻으로 분석돼 2차 협상에서 압력 수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미국 측이 예상대로 농업시장 개방 확대에 초점을 맞추면서 도내 농산물 중 최대 피해가 우려되는 감귤산업과 관련된 협상대책 마련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한 ·미 양국은 다음달 10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2차 공식협상에서 분야별 양허안과 유보안을 교환한 뒤 구체적인 개방 수준에 대한 협상을 개시할 방침이다.

이로 볼 때 농업 분야에 대한 협상 예외나 민감품목 지정, 관세 유예조치 여부 등이 2차 협상에서 거론될 것으로 예상돼 협상안에 감귤산업 대책을 포함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가 시급해지고 있다.

더욱이 2차 협상에서는 농산물에 있어 최대 현안인 쌀 분야도 다뤄질 예정이어서 자칫 감귤 분야인 경우 뒷전으로 밀릴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감귤특별대책위원회를 구성, 피해 분석 연구용역과 함께 협상 제외 건의 등에 총력을 쏟고 있으나 긴박해진 추진 일정상 확실한 연구자료를 토대로 조기에 설득논리를 마련, 대중앙 절충에 있어 실기(失期)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달말까지 감귤 피해 연구용역이 완료되면 이를 바탕으로 중앙 절충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69 [열린마당] 감귤의무자조금사업 참여로 자생력 키우자 기획정보과 2021-07-29 3408
1768 '노지감귤 가격안정관리제' 10월 첫 시행 기획정보과 2021-07-29 3155
1767 하우스감귤 하락세...출하 조절 등 가격지지 노력 요구 기획정보과 2021-07-26 4162
1766 '제주감귤20년' 재배품종 지형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21-07-22 3850
1765 제주,잇딴 폭염에 노지감귤 병해충 '볼록총채벌레'급증 기획정보과 2021-07-16 4506
1764 제주감귤 판매액 사상 처음 9500억 넘어 기획정보과 2021-07-13 3147
1763 올해산 노지감귤 차과 5.5%감소...추가 낙과 우려 기획정보과 2021-07-12 3374
1762 제주서 감귤 등에 막대한 피해 오리엔탈과실파리 발견'초긴장' 기획정보과 2021-07-09 3878
1761 하우스 감귤 가격 호조..철저한 품질 관리 요구돼 기획정보과 2021-07-02 3648
1760 친환경 인증 노지감귤 재배방법 한눈에 기획정보과 2021-06-23 2925
1759 전라도 감귤농업, 우리가 몰랐던 사실들 기획정보과 2021-06-23 4158
1758 맛좋은 제주 하우스감귤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21-06-23 2998
1757 제주기고]제주경제 버팀목, 제주감귤 살리기 기획정보과 2021-01-05 4131
1756 쉽게 무르는 겨울 과일'감귤'보관 요령은 기획정보과 2021-01-05 4010
1755 감귤, 곰팡이 피면 즉시 버려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21-01-05 4513
1754 친환경감귤에 해충 깍지벌레류 방제 기획정보과 2019-05-22 4443
1753 추석 앞두고 감귤 강제착색 등 첫 적발,, 기획정보과 2018-09-20 4845
1752 고품질감귤 생산'열매솎기'남았다 기획정보과 2018-09-06 4291
1751 서귀포시 감귤박물관,감귤따기체험장 확장 및 신설로 마련 기획정보과 2018-09-06 4514
1750 지난해 감귤 조수입 2000년대 이후 최고 기획정보과 2018-07-27 391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