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재해보험에 ‘풍상’ 피해도 포함된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2 10:30:35      ·조회수 : 2,742     

감귤 재해보험에 ‘풍상’ 피해도 포함된다!
김우남 의원, 농작물재해보험법 개정안 발의
감귤 재해보험가입율 0.4% 불과 농가외면 심각
5/11 제주의소리 이재홍 기자

그동안 감귤의 피해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농작물재해보험의 수혜를 전혀 받지 못하던 감귤농가의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김우남 의원(열린우리당·제주시·북제주군 을)은 11일, 국회의원 12명의 서명을 받아 감귤품목의 보상범위에 풍상과를 포함하는 ‘농작물재해보험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2001년에 도입된 농작물재해보험은 태풍, 동상해 등 자연재해로 인해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할 때 가입농가에 손실의 일정부분을 보상해주는 보험제도로, 보험료실적이 2001년 30억원에서 올해 614억원으로 5년동안 20배이상 증가했고, 태풍 루사, 매미 등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2만7천여 농가에 1,200억원의 보험금이 지급 되는 등 대상농가의 가입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현재 농작물재해보험은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단감, 감귤 등 6개 품목에 대해 적용되고 있으며, 올해 품목별 대상면적 대비 가입면적은 사과 52%, 배 52%, 단감 25% 등으로 집계됐으나 감귤은 0.4%에 머물렀다.
이처럼 감귤의 가입실적이 타품종에 비해 극히 낮은 이유는 태풍과 강풍이 많은 제주지역의 특성상 감귤에서 많이 발생하는 ‘풍상’피해가 보상범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 재해보험의 제도적 실효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번 개정안에는 현재 태풍, 우박, 동상해에 의한 낙과, 낙엽피해로만 한정되어 있는 감귤의 보상범위에 ‘강풍에 의한 풍상피해’를 포함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어 감귤농가에 대한 실질적인 피해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우남 의원은 “대상품목의 개별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일률적으로 설정된 보상범위로 인해 감귤농가들은 재해보험의 수혜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했다”며 “풍수해보험 등으로 인해 이번에 제외된 하우스감귤과 가뭄, 황사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도 재해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25 "FTA기금 감귤 현대화사업 신청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1-21 3144
1724 가공용 감귤 수매가 단계적 인하 논란 기획정보과 2016-11-03 4100
1723 제주감귤의 가치 기획정보과 2016-11-01 2870
1722 감귤1차 관측조사, 상인들 포전거래 악용 사례 많다. 기획정보과 2016-10-31 3601
1721 감귤재배 우리나라 전 지역으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6-10-31 3448
1720 감귤산업의 생존전략 기획정보과 2016-10-31 3583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480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824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159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681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169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308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370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503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234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021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124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217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193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20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