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16 10:47:58      ·조회수 : 3,126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 참여 저조
농가 “재식거리 너무 넓고 경영 부담” 기피
농민신문 6/16 강영식 기자


제주도가 FTA 기금 지방자율사업으로 추진 중인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에 농가들의 참여가 저조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해부터 시행하는 감귤 우량품종 갱신사업은 노쇠한 감귤나무를 우량 품종으로 갱신함으로써 FTA(자유무역협정)에 대비한 고품질 감귤 생산기반 구축을 목적으로 품종 갱신 농가의 부담을 덜기 위해 묘목 대금과 재식비 등 1㏊당 사업비의 50%를 보조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도의 지난해 사업량은 45.63㏊로 목표인 198㏊의 25%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나마 올해는 지난해보다 사업 계획량이 더 줄어 35.13㏊에 불과한 실정. 이는 선정 기준이 되는 묘목 재식거리가 4m×1.5m로, 묘목 간격이 너무 넓어 농가들이 참여를 꺼리기 때문이다.

특히 수확을 포기하면서까지 기존 성목을 뽑아내고 10년 이상 키워야 할 묘목을 심는 데 대한 농가들의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과수원 면적을 나눠 품종 갱신을 할 수 있는 대농에 비해 소농들은 사업 참여에 엄두도 못 내는 형편이다. 사업 신청을 했다가 포기한 농가들 사이에서는 “품종 갱신을 한다하더라도 수확할 때까지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하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감귤 농가 오광식씨(39·남제주군 남원읍 한남리)는 “재식거리가 3m×50㎝ 정도가 충분한데도 도의 기준은 융통성이 아예 없다”며 “농가의 경제적 측면도 배려해 참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도는 과거 ‘밀식 재배 등으로 인한 공급 과잉’ 전철을 다시 밟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의 관계자는 “올해 사업량이 줄어든 이유는 1년생에서 2년생 묘목으로 단가를 맞췄기 때문”이라며 “과수원 면적을 나눠서 묘목을 심는 등 농가들이 운영의 묘를 살리면 충분히 참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27 올해 제주 노지감귤 "맛있다"...당산비 11.8 생산 49만9천톤 기획정보과 2016-12-02 3693
1726 [사설]12월1일 "감귤데이".. 감귤은 겨울철 1등 과일 기획정보과 2016-12-01 3370
1725 "FTA기금 감귤 현대화사업 신청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1-21 3179
1724 가공용 감귤 수매가 단계적 인하 논란 기획정보과 2016-11-03 4109
1723 제주감귤의 가치 기획정보과 2016-11-01 2915
1722 감귤1차 관측조사, 상인들 포전거래 악용 사례 많다. 기획정보과 2016-10-31 3628
1721 감귤재배 우리나라 전 지역으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6-10-31 3478
1720 감귤산업의 생존전략 기획정보과 2016-10-31 3631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519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868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208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682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207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350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435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541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259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067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174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26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