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오늘 제주감귤 운명 '승부령'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5 12:29:22      ·조회수 : 3,405     

▲현지 방문단과 한국측 농업분과 협상단이 간담회를 연 가운데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비장한 각오로 수차례 비행기를 갈아타면서 여기까지 왔다. 5차 협상이 제주감귤에 있어서 중요한 고비로 안다. 도민의 생존의 걸린 문제이니 만큼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p></p>
<b><font size="5">오늘 제주감귤 운명 '승부령'</b></font>

<font size="4" color="blue">협상단, 美 커틀러 대표 면담 예정..김종훈 수석도 배석
</font>

<font size="3">한라일보 12/5 오태현 기자

미국 몬태나주 빅스카이시=오태현 기자> 한미 FTA 5차 협상이 열리고 있는 미국 몬

태나주 빅스카이시를 현지 방문 중인 김태환 도지사를 비롯한 김우남.김재윤 국회의

원 등 민.관 합동 방문단은 4일 오전(현지시각) 협상이 개막되자 양국 협상단과 수석

대표 만남을 잇따라 추진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방문단은 잇단 면담과 접촉을 통해 ‘제주 감귤의 절박성’을 제대로 인식시키며

공감을 얻고 있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지금의 분위기를 협상이 끝날 때까지 계속 이

어 나가기로 했다.

현지 방문단은 FTA 협상 개막일인 4일 낮 한국측 농업분과 협상단 18명과 간담회

를 갖고 협상장까지 찾아오게 된 심각한 상황을 설명했다.

김태환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비장한 각오로 수차례 비행기를 갈아타면서 여기까

지 왔다. 5차 협상이 제주감귤에 있어서 중요한 고비로 안다. 도민의 생존의 걸린 문

제이니 만큼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배종하 한국측 농업분과장은 “농업 부분 중 민감 품목에 대해 방향을 잡아가고 있지

만 쉽지 않다. 향후 나흘 동안 결정해 나갈 것이고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며 제

주의 입장을 십분 수용했다.

방문단은 이어 이날 오후 3시 김종훈 한국측 수석대표와의 면담에서 김우남 의원은

“제주에서 왜 우리가 왔는지를 헤아려 달라. 육지부가 쌀이라면 제주는 감귤이 생명

산업이다. 감귤이 협상품목에서 제외되지 않으면 FTA 국회비준 동의가 어려울 것이

다. 제주출신 국회의원만 하더라도 원희룡 의원 포함 5명이나 된다”고 강조했다.

또 방문단은 5일 오전 11시(현지시각) 웬디 커틀러 미국측 수석대표와의 면담을 약

속 받아 놓고 있다. 이 면담은 웬디 커틀러 측에서 우리의 입장을 전적으로 수용하면

서 성사가 됐다. 김종훈 한국측 수석대표도 같이 참석한다.

방문단은 미 수석대표와의 면담을 통해 지금까지 펴온 제주감귤의 입장을 일목요연

하게 정리함은 물론 향후 제주감귤의 운명을 결정지을 분수령으로 보고 긴급 건의문

을 작성 전달할 계획이다.

방문단은 이와 함께 미국측 농업분과 협상단과 한차례 더 면담을 갖는가하면 한미

FTA 현지 취재를 위해 파견중인 한국 기자단과도 기자회견을 약속해 놓고 있다.

한편 방문단은 이미 지난 3일 저녁 6시부터 3시간 동안 미국측 농업분과 위원장을

비롯 협상단 8명과 특별 면담을 통해 협상과정에서 제주 감귤의 절박함을 역지사지

심정으로 이해해 미국과 협상단 그리고 미국 언론에서 제대로 인식해 주었으면 한다

고 촉구했다.

</font>

<b>오늘 제주감귤 운명 '승부령'</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25 "FTA기금 감귤 현대화사업 신청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1-21 3156
1724 가공용 감귤 수매가 단계적 인하 논란 기획정보과 2016-11-03 4105
1723 제주감귤의 가치 기획정보과 2016-11-01 2890
1722 감귤1차 관측조사, 상인들 포전거래 악용 사례 많다. 기획정보과 2016-10-31 3615
1721 감귤재배 우리나라 전 지역으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6-10-31 3472
1720 감귤산업의 생존전략 기획정보과 2016-10-31 3611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3500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2853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184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3681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195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328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3418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3530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247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051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145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244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221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22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