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10월 과채·과일 출하량, 오이·호박 늘고 배·감귤 줄고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3 09:32:36      ·조회수 : 3,154     

10월 과채·과일 출하량, 오이·호박 늘고 배·감귤 줄고
농민신문 9/13 노현숙 기자
오이·호박·토마토는 출하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딸기는 로열티 문제로 국산품종의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올 추석 사과값은 지난해와 비슷하고, 배값은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의 10월 과채·과일류 전망을 알아본다.

〈과채류〉

◆오이=〈백다다기〉 9~10월 출하량은 8~10% 많을 것으로 보인다. 9월 도매값은 상품 100개들이 한 상자가 2만3,000~2만7,500원, 10월은 9월 보다 크게 낮을 전망이다. 〈취청〉오이는 출하량 증가로 9월 도매값이 상품 20㎏ 한상자가 2만2,900~2만8,000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토마토=일반토마토 9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0%, 10월은 12%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9월 도매값은 상품 10㎏ 한상자가 1만8,000~2만2,000원, 10월은 이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방울토마토 10월 출하량도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돼, 상품 5㎏ 한상자가 1만3,000원을 밑돌 것으로 보인다.

◆호박=애호박 9~10월 출하량은 8~11%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9월 도매값은 평년과 비슷한 상품 20개 한상자가 1만3,500~2만600원 선이 예상된다. 주키니 9월 출하량도 16% 이상 많을 것으로 보여, 도매값은 상품 10㎏ 한상자가 9,000~1만7,400원, 10월엔 이보다 크게 떨어질 듯하다.

◆고추=풋고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1% 줄고, 10월엔 1% 늘어날 전망이다. 9월 도매값은 강원지역의 출하량 감소로 상품 10㎏ 한상자가 3만2,000~3만5,000원이 예상되고, 10월은 지난해의 2만5,200원을 웃돌 듯하다. 〈청양〉 10월 도매값은 지난해와 비슷할 전망이다.

◆수박=9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1% 적고, 10월은 5% 많을 전망이다. 9월 도매값은 대체과일의 출하량이 많아 상품 10㎏ 한상자가 9,000~1만원이 예상된다. 9월 정식면적은 전년 동기보다 8% 늘고, 10월은 지난해 수준과 비슷할 전망이다.

◆딸기=정식의향면적은 지난해보다 1% 적은 6,900㏊로 조사됐다.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재배규모를 줄인 딸기 농가들이 수박· 호박 등으로 작목을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열티 문제로 인해 〈매향〉 〈설향〉 등 국산 품종의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 것으로 보인다.

〈과일류〉

◆사과=9월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27% 많을 것으로 보이지만, 상품과 비율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도매값은 〈홍로〉 상품 15㎏ 한상자가 4만원 선에서 형성될 듯하다. 10월 이후엔 공급량이 지난해보다 7% 늘지만 당도 등 품질이 좋을 것으로 보여, 값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당도는 높으나 공급량이 24% 늘어, 9월 도매값은 〈신고〉 15㎏ 상품 한상자가 2만5,000~2만8,000원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10월 이후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11% 적어, 값은 지난해 시세보다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감=9월 공급량은 동해로 인한 조생종 생산량 감소로 지난해보다 11% 줄어들 전망이다. 하지만, 품질이 다소 떨어져 값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감귤=9월 하우스밀감 공급량은 지난해보다 11% 적고, 10월 이후에도 12% 정도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9월 도매값은 5㎏ 상품 한상자가 2만3,000~2만4,000원 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지감귤은 착과량은 줄었으나 생리 낙과가 예상보다 적어 올 생산량은 53만~55만t으로 예상된다.

◆포도=출하시기가 늦춰져 9월 출하량은 지난해보다 16% 증가할 전망이다. 9~10월 상순 도매값은 〈캠벨얼리〉 상품 5㎏ 한상자가 지난해와 비슷한 1만3,000~1만5,000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복숭아=9월 출하량은 11% 늘고, 10월 이후엔 1%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당도가 높고 추석 선물용 수요 증가가 예상돼 9월 중순~10월 상순 복숭아 도매값은 〈유명〉 상품 4.5㎏ 한상자가 1만1,000원을 웃돌 전망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261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273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500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578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3898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005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640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557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309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118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288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150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214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275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3885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651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123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4905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706
1688 제주"귤로장생"하우스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16-04-25 464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