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4,034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29 [열린마당]'친환경귤'과'파치귤' 기획정보과 2016-12-05 4746
1728 [사설]맛좋은 올해 감귤 품질관리 출하조절로 승부 기획정보과 2016-12-05 3446
1727 올해 제주 노지감귤 "맛있다"...당산비 11.8 생산 49만9천톤 기획정보과 2016-12-02 4214
1726 [사설]12월1일 "감귤데이".. 감귤은 겨울철 1등 과일 기획정보과 2016-12-01 3829
1725 "FTA기금 감귤 현대화사업 신청하세요" 기획정보과 2016-11-21 3888
1724 가공용 감귤 수매가 단계적 인하 논란 기획정보과 2016-11-03 4737
1723 제주감귤의 가치 기획정보과 2016-11-01 3458
1722 감귤1차 관측조사, 상인들 포전거래 악용 사례 많다. 기획정보과 2016-10-31 4207
1721 감귤재배 우리나라 전 지역으로 확대 기획정보과 2016-10-31 4024
1720 감귤산업의 생존전략 기획정보과 2016-10-31 4272
1719 제주농민 소외된 감귤정책 "질타" 기획정보과 2016-10-27 4021
1718 감귤, 유통처리 실태 현장 점검 기획정보과 2016-10-26 3230
1717 비상품감귤 자가농장 격리 시행 기획정보과 2016-10-25 3718
1716 비상품감귤 가공운영난 수매 "차질" 기획정보과 2016-10-25 4037
1715 제주감협, 올해산 노지감귤 첫수출 기획정보과 2016-10-19 3779
1714 제주시, 비상품 감귤 유통단속반 본격 가동 기획정보과 2016-09-26 3777
1713 햇 제주감귤 군침 도네! 기획정보과 2016-09-22 4020
1712 제주농협, 감귤 계약출하사업 재개 기획정보과 2016-09-22 4037
1711 올해산 감귤 소과 발생비율 높다 기획정보과 2016-09-19 3669
1710 풋귤,강제착색 감귤 기승.. 노지감귤 가격에 악영향 걱정 기획정보과 2016-09-19 354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