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08 10:34:12      ·조회수 : 3,253     

<p></p>
<b><font size="5">“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font></b>

<font size="4" color="blue">2007 도전, 난지농업연구소 감귤연구센터 생리연구실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6 좌동철 기자

프랑스 장수마을에서 100세 이상 노인들은 그 지역의 포도주(와인)를 마셔왔다. 와

인은 혈액순환을 돕고 긴장을 풀어준다. 또 심장을 건강하게 하고 노화방지에도 탁

월하다.

와인의 ‘기능성’이 밝혀진 것이다. 포도가 아닌 ‘감귤와인’은?

신맛이 덜하고 적당히 달짝지근한 12도의 이 술은 와인의 기능성에 다량의 ‘플라보

노이드’가 녹아 있다. 녹차잎에 많다는 플라보노이드는 비타민P 또는 비타민C2의

다른 이름.

이 감귤와인이 탄생한 곳은 서귀포시 남원읍에 있는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감

귤연구센터 생리연구실. 국가기관 연구원들이 술을 빚어낸 것이다.

다른 연구실은 신품종 감귤육성에 매달릴 때 생리연구실은 감귤의 엑기스만 뽑아내

는 기능성에 심혈을 쏟았다. 적당히 발효하면 와인이 되는가? 천만의 말씀.

감귤와인은 1996년 ‘감귤주(酒)’를 시작으로 2001년까지 연구한 결과다. 시판은 올

해 5월에서야 이뤄졌다.

최영훈 박사는 “감귤와인은 10년 전 농산물 수입개방을 염려해 개발을 시작한 것”이

라며 “작금의 우루과이라운드, FTA 등 오렌지 개방과 감귤 수급난을 볼 때 제주감귤

의 미래는 기능성 제품에 달려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최 박사와 연구원들은 수천 여개의 자연 야생효모를 찾아 감귤을 발효하고 숙성시키

는 고된 실험을 3년간 계속했다. 100% 감귤원액에 효모만을 주입해 기능성을 높이

고 맛까지 좋은 와인을 만들기까지는 쉽지 않았다.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해 한 달간 밤을 꼬박 새고 실험쥐에 감귤와인을 투여했다. 그

결과 실험쥐들의 몸무게는 45%, 복부지방은 41% 감량됐다. 혈압은 15% 내려갔다.

감귤와인은 국가기관 연구원들이 만들었기 때문에 특허청이 소유하게 됐다. 이 특허

는 지난 5월 민간업체인 ‘감귤와이너리’에 무상으로 기술을 이전했다.

최근에는 독일에서 감귤와인을 수입하겠다는 의사를 타진해 오면서 수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최 박사는 “감귤와인인 뿐 아니라 식초·쨈·주스·청과음료·드링크 등도 개발했는데 민

간업체가 원할 경우 무상으로 기술을 전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원들의 목표는 감귤 기능성제품이 전 세계적인 베이스(재료)가 되는 것.

최 박사는 “오렌지주스와 레몬원액을 전 세계인이 찾는 것은 단순 음료수가 아닌 각

종 요리는 물론 유명 칵테일의 재료가 됐기 때문“이라며 “감귤주스와 와인도 칵테

일 베이스가 될 수 있도록 연구를 쉬지 않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연구원들은 웰빙에 맞춰 감귤에 함유된 비만억제 물질 및 항산화물질을 이용

해 비만억제 제품을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미 FTA협상을 놓고 걱정하는 감귤농가의 시름을 덜어내기 위해 감귤연구센터 생

리연구실 연구원들은 하루도 빠짐없이 시험관을 흔들고 플라스크를 들여다보고 있

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325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296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313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508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3587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3916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024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3645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4577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315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128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296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175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228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280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3906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4658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135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4915
1689 하우스감귤"불로초"본격출하..."맛의 품격이 달라요" 기획정보과 2016-05-17 372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