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28 10:25:16      ·조회수 : 2,956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제민일보 8/25
한·미 FTA 협상을 이끌고 있는 우리나라측 김종훈 수석대표가 감귤을 관세 철폐 제외 대상에 포함시켰다고 밝힌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한국언론재단이 ‘한·미 FTA 협상 주요 결과 및 향후 계획’을 주제로 마련한 김종훈 한·미 FTA 협상 수석대표 초청 제21회 KFP포럼에서 그는 “지난 15일 미국과 교환한 농업·상품·섬유 분야 제1차 양허안에 감귤을 관세 철폐 대상에서 제외, 양허 제외 또는 최장 15년의 기타 단계에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양허 단계가 관세 즉시 철폐, 3년, 5년, 10년 및 기타 양허 제외 또는 최장 15년 등 5단계로 구분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만족할만 하다.
이에 앞서 한·미 FTA 체결에 따른 감귤의 연간 피해액 계측 결과 제주대 용역팀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관세 철폐 시기에 따라 최고 1226억원의 차이를 보인 바 있다.
이 때문에 정부가 감귤산업 피해 규모를 의도적으로 축소, 감귤을 협상 순위에서 미루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측 실무책임자가 공식적으로 감귤을 관세 철폐 제외 대상에 포함했다고 언급한 것은 도민들을 크게 고무시키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이것으로 끝난 것은 물론 아니다. 감귤을 관세 철폐 제외 대상에 포함시킨 양허안이 미국과의 FTA 최종 협상에서 관철돼야만 비로소 의미를 갖는 것이다.
감귤과 경쟁관계인 오렌지의 수입 문제가 불공정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미국측이 벌써부터 불평을 늘어놓고 있다는 김 수석대표의 전언만 듣더라도 우리측 양허안 관철이 결코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떨쳐버릴 수 없다.
그러나 정부는 어떠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감귤은 육지부의 쌀과 똑같은 제주의 생명산업임을 깊이 인식, 감귤을 관세 철폐 대상에서 끝까지 제외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바라는 바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09 제주도 풋귤, 가공법 리플릿으로 제작 기획정보과 2016-08-25 3794
1708 도 올해산 노지감귤 고품질 생산 종합상황실 운영 기획정보과 2016-07-20 4864
1707 올해사 ㄴ감귤 생산량 관리'경계령' 기획정보과 2016-07-15 3863
1706 하우스밀감의 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려면 기획정보과 2016-07-13 3678
1705 제주농업기술원, 여름철 노지감귤 전정기슐교육 실시 기획정보과 2016-07-13 3943
1704 제주 농업용수 "부족현상'완화 전망 기획정보과 2016-07-12 4002
1703 태양광사업 도내 어디서나 가능 기획정보과 2016-07-12 4463
1702 "올해 노지감귤 60만톤 생산 예상" 기획정보과 2016-07-11 4489
1701 '풋귤'안전관리 기준 마련 추진 기획정보과 2016-07-06 4101
1700 당도 기준 감귤관리 기대반 걱정반 기획정보과 2016-07-05 5173
1699 제주감귤,당도기준조례 개정 도-농가 온도차 기획정보과 2016-07-05 3750
1698 카카오파머, 8월부터 감귤외 제주산 농산물 20여종 직거래 기획정보과 2016-06-30 6582
1697 2015년산 감귤 조수입 6022억원 기획정보과 2016-06-28 3721
1696 농기원,감귤품질 향상 위한 교육 추진 기획정보과 2016-06-22 4841
1695 제주시,하우스감귤농가 6억6700만원 난방시설비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21 3672
1694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 수출 시작 기획정보과 2016-06-16 3664
1693 제주도 귤나무 황금낭, 공기 정화식물로 "관심" 기획정보과 2016-06-14 4661
1692 감귤비가림하우스 폭설피해 예방 온풍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6-06-13 5100
1691 제주지역 감귤 꽃 많이 피었다. 기획정보과 2016-06-08 4658
1690 제주관광공사, 감귤융복합지구 조성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6-05-27 55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