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FTA 감귤투쟁, 지금이 고비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5 09:53:40      ·조회수 : 2,772     

[사설] FTA 감귤투쟁, 지금이 고비다
9/15 제주타임즈
10월 23일부터 진행될 한-미FTA 제4차 본 협상을 앞두고 제주감귤 운명이 가물가물해지고 있다. 그 동안 한-미FTA협상 과정에서 제주감귤은 한때 ‘관세철폐 예외품목’으로 분류돼 희망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강경 일변도로 나오던 ‘섬유 개방’ 협상에서 한 걸음 후퇴하면서 그 대신 우리 정부가 고수해 오던 ‘농산물 개방’문제를 압박해 옴으로써 감귤의 ‘예외품목 지위’가 흔들릴 개연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당황한 제주도와 감귤특별대책위는 농림부 장관에게 건의문을 보내 “감귤산업의 몰락은 곧 제주도민의 생존과 직결돼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협상 품목에서의 제외를 재차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현재까지 나타난 문제점 파악과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고, FTA협상단도 방문할 계획이지만 성과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감귤의 장래 문제가 중요한 고비를 맞고 있으며, 따라서 FTA에 대한 투쟁도 막바지 고비에 이른 셈이다. 이제 제주도와 감귤대책위, 도의회-국회의원, 도민들은 이 중차대한 고비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절박한 기로에 서 있다. 앞으로 감귤을 위해서는 건의-방문-성명-서명-집회 등을 통한 ‘협상 품목 제외 운동’의 개념에서가 아니라 ‘투쟁’의 개념으로 그 외의 행동까지도 구체화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록 시장이 좁은 제주지만 오렌지를 비롯한 미국산 상품 불매운동까지도 불사해야 한다. 거도적(擧道的)인 결연한 행동이 아니고서는 감귤을 지켜내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69 감귤 미국 수출 시작... 12월까지 800톤 목표 기획정보과 2015-11-04 4330
1668 제주시,비상품감귤 유통지도단속 강화 기획정보과 2015-11-04 4178
1667 [기고]본격적인 감귤 수확청을 맞이하여 기획정보과 2015-10-27 4318
1666 생명산업 감귤 정책 추진 미흡 기획정보과 2015-10-27 3951
1665 제주농협 우수감귤 경연대회 실시 기획정보과 2015-10-27 4324
1664 [기고]구슬을 잘 꿰어 제주감귤 재도약 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10-27 4289
1663 올해산 감귤 5000톤 수출나선다 기획정보과 2015-10-26 4473
1662 [기고]제주감귤 원흉, 제로화가 최우선 기획정보과 2015-10-26 4962
1661 상인·영농법인 감귤 제값받기 외면 기획정보과 2015-10-26 3762
1660 계통 작목반에 전담직원배치 기획정보과 2015-10-26 4174
1659 감귤나무, "나이"별 생산량과 가치는 얼마? 기획정보과 2015-10-26 3991
1658 소식재배과원 밀감나무 경제가치 높아 기획정보과 2015-10-26 3794
1657 비상품 감귤 여전 "아직도 딴 생각?" 기획정보과 2015-10-19 4013
1656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앞장 기획정보과 2015-10-19 4455
1655 감귤 원산지 거짓표시 집중 단속 기획정보과 2015-10-14 4021
1654 우리 몸을 이롭게 하는 감귤의 비밀 기획정보과 2015-10-14 3973
1653 비상품감귤위험수위... 경락가격 "뚝" 기획정보과 2015-10-14 5367
1652 [사설]추석민심 정확한 진다 속에 해결책 찾아야.. 기획정보과 2015-10-01 4305
1651 [사설]유통전문가들 노지감귤 출하 앞둬 쓴소리 기획정보과 2015-09-30 4557
1650 비상품 감귤 유통 선과장 제재 강화 기획정보과 2015-09-30 428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