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4 15:27:38      ·조회수 : 2,396     

<p></p>
<font size="5"><b>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b></font>

<font size="4" color="blue">특별도의회 "실현 가능성 희박"

제주도 "FTA대비 경쟁력 향상"</font>

<font size="3">한라일보 12/4 백금탁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중인 미숙감귤을 이용한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사업에 대

해 도의회 차원에서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제주도는 현재 이 사업과 관련 미국의 MIT공대와 공동연구하고 있는 국책

사업이라고 맞서고 있다.

 3일 제주도의회 현우범 의원과 국내 연구진, 감귤 관련 전문가 등은 제주자치도

가 올해부터 오는 2010년까지 4년간 총 10억9천만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에 대해 이

미 1980년대에 연구된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이 사업과 관련 제주도는 최근 FTA와 WTO 등 농산물 개방에 따른 국제 경

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미

숙감귤의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여기에다 첨단 바이오기술을 적용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원료 등으로 개발할 계획을 수립했다.

 감귤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변환기술(컨버터

기술)을 이용해 신기능성 물질을 개발, 산업화로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1단계 기초조사와 2단계 산업화 연구개발 사업으로 나눠 모

두 10억9천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제주대학교, 하이테크산업진흥원, 농업기술원,

MIT공대 등 국내·외 첨단연구팀이 공동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우범 의원은 지난 1일 2007년도 지식산업국 등에 대한 예산

안 심사에서 "올해 확보된 이 사업의 1단계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 가능성 조사연

구'에 대한 사업비 1억원은 카이스트 연구진과 감귤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2

천만원이면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제주도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

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또 현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개발하려는 기능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헤스페리

딘, 나리루틴, 노빌레틴 등은 감귤이외에 다른 식물 등에도 다량 함유된 물질"이

며 "도내 감귤박에 대한 전문가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이 연구는 이미 지난 80·90년

대 중반에 이뤄진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이 사업과 관련 논란이 제기되며 실효성 문제에 있어 정확한 재검토와 함

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48 비상품감귤 유통 선과장 "퇴출"... 조례 10월6일 시행 기획정보과 2015-09-25 3392
1647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총력 기획정보과 2015-09-24 3355
1646 고품질 감귤 개발 약속해놓고 1건도 성과 못내 기획정보과 2015-09-23 3691
1645 [사설]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연한 의지 촉구 기획정보과 2015-09-23 3715
1644 "끝물" 하우스감귤 가격 호조세 유지 기획정보과 2015-09-22 3929
1643 세계속의 명품 감귤이 곧 제주의 미래.. 기획정보과 2015-09-21 3350
1642 제주의 미래, 세계속 명품 감귤로, 기획정보과 2015-09-21 3155
1641 경기도,수도권 주민이 가장 많이 사는 과일은? 기획정보과 2015-09-16 4132
1640 채소 비닐하우스에 감귤 재배 속출 기획정보과 2015-09-16 4015
1639 제주감귤농협"불로초"2015농식품 파워브랜드대전 국무총리상 기획정보과 2015-09-14 3654
1638 감귤후숙 등"얌체상혼"근절책 마련 기획정보과 2015-09-14 3614
1637 [사설]출하초기 비상품 감귤 유통 기쓰고 막아야 기획정보과 2015-09-14 3544
1636 열매솎기 저조 고품질 안정생산 먹구름 기획정보과 2015-09-11 3991
1635 노지감귤 소과비상, 열매 솎기에 총력을 기획정보과 2015-09-11 3837
1634 제주시, 감귤혁신에 800여억원 투자 기획정보과 2015-09-10 4122
1633 올해산 노지감귤 출하 준비 속도 기획정보과 2015-09-10 5283
1632 올해산 노지감귤 적정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9-10 3601
1631 올해산 비상품 감귤,이달 말부터 도매시장서 "OUT" 기획정보과 2015-09-10 4766
1630 비상품감귤 11만9000톤...제주도,8만톤 수매 기획정보과 2015-09-08 3884
1629 올해산 노지감귤 지역별 생산량 차이 크다? 기획정보과 2015-09-08 401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