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2-28 09:00:54      ·조회수 : 2,890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색다르게 즐기는 감귤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들은 기능성이 많이 함유된 과일중에 하나로 감귤을 꼽는다. 그러다 현실적으로 감귤을 매일 2개이상 섭취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농촌 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팀은 감귤의 기능성을 쉽게 섭취하는 방법을 공개했다.

감귤 껍질에는 알맹이에 비해 2~5배 이상 많은 기능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알맹이만 먹고 껍질은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조금만 신경을 쓰면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비타민 덩어리를 먹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그럼 효율적으로 껍질을 먹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감귤을 즐기는 방법

우선 부패나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건전한 감귤을 선택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는다(세척시 식초 1~2숟가락을 타서 씻으면 효과적).
다음은 감귤을 깨끗한 수건이나 종이타월로 외부에 묻는 수분을 제거한 후 귤껍질 부분을 칼로 +자로 그은 후 벗기고 3~4mm로 잘게 썬다.
감귤 껍질에는 정유(테르페노이드)라고 하는 물질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물질은 정유는 공기랑 접촉하기를 좋아해 쉽게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면서 기능성을 섭취하려면 제거하는것이 좋다.

정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물을 끓인 후 불을 끈다. 대략 수온이 90도씨 내외의 뜨거운 물이 되면 여기에 슬라이스 된 감귤껍질을 20분간 담근다.
물 색깔이 연한 노란색을 띄면서 표편에 약간의 기름 같은 것이 보이면 건져내 찬물에 넣고 식힌후 껍질의 물기를 꽉 짠 후 냉동실에 보관해 이용하면 된다.

먹는 방법은 우선 샐러드나 채소를 먹을때 함께 넣어 먹어도 좋고 그냥 과자처럼 먹어도 좋다. 일정시간 양을 정해놓고 먹을 필요는 없으며 기본적으로 먹는 분량은 귤껍질 2~3개 분량(30g)이상 먹는것이 중요하다. 지속적으로 섭취했을때는 비만억제·고지혈증 예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47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총력 기획정보과 2015-09-24 3354
1646 고품질 감귤 개발 약속해놓고 1건도 성과 못내 기획정보과 2015-09-23 3689
1645 [사설]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연한 의지 촉구 기획정보과 2015-09-23 3707
1644 "끝물" 하우스감귤 가격 호조세 유지 기획정보과 2015-09-22 3929
1643 세계속의 명품 감귤이 곧 제주의 미래.. 기획정보과 2015-09-21 3347
1642 제주의 미래, 세계속 명품 감귤로, 기획정보과 2015-09-21 3152
1641 경기도,수도권 주민이 가장 많이 사는 과일은? 기획정보과 2015-09-16 4130
1640 채소 비닐하우스에 감귤 재배 속출 기획정보과 2015-09-16 3998
1639 제주감귤농협"불로초"2015농식품 파워브랜드대전 국무총리상 기획정보과 2015-09-14 3642
1638 감귤후숙 등"얌체상혼"근절책 마련 기획정보과 2015-09-14 3609
1637 [사설]출하초기 비상품 감귤 유통 기쓰고 막아야 기획정보과 2015-09-14 3537
1636 열매솎기 저조 고품질 안정생산 먹구름 기획정보과 2015-09-11 3984
1635 노지감귤 소과비상, 열매 솎기에 총력을 기획정보과 2015-09-11 3831
1634 제주시, 감귤혁신에 800여억원 투자 기획정보과 2015-09-10 4109
1633 올해산 노지감귤 출하 준비 속도 기획정보과 2015-09-10 5260
1632 올해산 노지감귤 적정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9-10 3586
1631 올해산 비상품 감귤,이달 말부터 도매시장서 "OUT" 기획정보과 2015-09-10 4760
1630 비상품감귤 11만9000톤...제주도,8만톤 수매 기획정보과 2015-09-08 3882
1629 올해산 노지감귤 지역별 생산량 차이 크다? 기획정보과 2015-09-08 3999
1628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53만9천톤 전망 기획정보과 2015-09-08 315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