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유통명령제 하나로는 감귤 살릴 수 없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6 09:54:20      ·조회수 : 2,728     

유통명령제 하나로는 감귤 살릴 수 없다
한라일보 5/16
감귤을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계속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정책수단을 찾는데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감귤값 지지와 관련, 감귤유통명령제가 새로운 정책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난 2003년 첫 도입된 감귤유통명령제는 3년간 시행 결과, 감귤값 지지에 일정 부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엇보다 비상품감귤의 유통을 차단하는데 효자 역할을 했다. 하지만 많은 비용을 투입해 가면서 감귤 농가들의 이익을 위해 도입된 제도임에도 미참여자가 적지 않다. 지난해 단속에 적발된 것만해도 총 4백건에 이른다. 농가와 상인단체 등의 자발적 참여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참여자와 미참여자를 확실히 구분해 차별 대우를 할 때가 됐다. 유통명령제를 준수한 농가·상인은 적극 보호하는 대신, 무임승차 생각으로 시책에 반하는 미참여자는 가혹하게 여겨질 정도의 제재와 불이익을 줘야 한다.

 단속의 강화와 더불어 위반자에 부과하는 과태료를 대폭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이 때문에 제기되고 있다. 간벌을 비롯한 각종 생산조정 시책과 유통 개선시책도 마찬가지다.

 감귤 크기로 상품과 비상품을 구분하는 관례도 바꿔 크기 뿐만 아니라 품질에 의한 상품기준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 공급자의 필요가 아닌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춘 상품과 비상품을 가르는 기준을 새롭게 정립해야 하는 것이다.

 시간이 많지 않다. 문제가 무엇인지 알면서 제 때 개선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행정기관과 생산자단체인 농·감협의 직무유기다. 긍정적인 제도는 보완 발전시켜 가면서 새로운 정책수단과 대안도 적극 발굴해야 한다. 정책기획 능력을 키워야 하는 것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라는 큰 파고가 언제 제주감귤을 휩쓸지 모를 위기 상황이다. 비상 상황에 걸맞는 제주감귤의 생존 방안을 진지하게 논의할 시점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49 가을 햇감귤 맛보세요 기획정보과 2015-09-30 3791
1648 비상품감귤 유통 선과장 "퇴출"... 조례 10월6일 시행 기획정보과 2015-09-25 3556
1647 비상품 감귤 유통 차단 총력 기획정보과 2015-09-24 3589
1646 고품질 감귤 개발 약속해놓고 1건도 성과 못내 기획정보과 2015-09-23 3943
1645 [사설]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연한 의지 촉구 기획정보과 2015-09-23 4061
1644 "끝물" 하우스감귤 가격 호조세 유지 기획정보과 2015-09-22 4212
1643 세계속의 명품 감귤이 곧 제주의 미래.. 기획정보과 2015-09-21 3705
1642 제주의 미래, 세계속 명품 감귤로, 기획정보과 2015-09-21 3429
1641 경기도,수도권 주민이 가장 많이 사는 과일은? 기획정보과 2015-09-16 4384
1640 채소 비닐하우스에 감귤 재배 속출 기획정보과 2015-09-16 4298
1639 제주감귤농협"불로초"2015농식품 파워브랜드대전 국무총리상 기획정보과 2015-09-14 4128
1638 감귤후숙 등"얌체상혼"근절책 마련 기획정보과 2015-09-14 4047
1637 [사설]출하초기 비상품 감귤 유통 기쓰고 막아야 기획정보과 2015-09-14 3873
1636 열매솎기 저조 고품질 안정생산 먹구름 기획정보과 2015-09-11 4496
1635 노지감귤 소과비상, 열매 솎기에 총력을 기획정보과 2015-09-11 4087
1634 제주시, 감귤혁신에 800여억원 투자 기획정보과 2015-09-10 4450
1633 올해산 노지감귤 출하 준비 속도 기획정보과 2015-09-10 5973
1632 올해산 노지감귤 적정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9-10 4047
1631 올해산 비상품 감귤,이달 말부터 도매시장서 "OUT" 기획정보과 2015-09-10 5093
1630 비상품감귤 11만9000톤...제주도,8만톤 수매 기획정보과 2015-09-08 419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