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소비자 인식 한라봉 "비싸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7 09:58:12      ·조회수 : 3,053     

소비자 인식 한라봉 "비싸다
제민일보 5/17 고미 기자
한라봉에 대해 ‘비싸다’는 소비자 인식이 강한데다 가격 기대치만큼 품질이 따라주지 못하면서 앞으로의 시장 경쟁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감귤유통조절추진위원회 등이 한국인이 좋아하는 대표과일 12개를 대상으로 체감 가격을 조사한 결과 한라봉에 대해 응답자의 58.1%가 ‘비싸다’는 반응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부산시 도매인의 68.4%(매우 비싸다 44.7%)가 비싸다는 응답을 했으며, 서울시는 54.8%로 상대적으로 체감 가격 부담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과일별 소비 의향을 묻는 문항에서는 ‘토마토’(63.3%)의 소비 증가를 예상하는 답변이 많았으며, △수입오렌지(54.8%) △복숭아(41.9%) △딸기(41.4%) △한라봉(37.1%) △포도(30.3%) △노지감귤(26.7%) △수입포도(25.2%) △하우스감귤(2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라봉은 그러나 2003년·2004년 조사에서 소비증가 순위 1위를 차지했던데 반해 이번 조사에서는 5위로 순위가 밀렸으며, 하우스감귤 역시 2003년 3위·2004년 4위에서 이번 9위로 밀리는 등 가격에 대한 소비자 부담이 여실히 반영됐다.

반면 수입오렌지는 2004년 5위까지 밀렸다가 이번 조사에서 2위로 순위가 오르면서 제주 감귤 시장의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지적됐다.

한라봉에 대한 소비지 인식이 나빠진 이유로는 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등 가격 만족도가 떨어지는 때문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실제 2005년산 한라봉은 설 특수를 겨냥한 조기 출하 이후 가격 하락이 이어지면서 이달 들어서도 평균 경락가격 1만원(3㎏)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최고 1만7900원을 기록하는 등 평균 1만2475만원 수준을 형성했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29 올해산 노지감귤 지역별 생산량 차이 크다? 기획정보과 2015-09-08 4307
1628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53만9천톤 전망 기획정보과 2015-09-08 3526
1627 농협,감귤산업.중도매업 발전 위한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5-09-08 4164
1626 열매솎기한 감귤, 청량음료로 가공 기획정보과 2015-09-02 4399
1625 "선과장 드럼선과기 교체육 높여야 5단계 유통 가능" 기획정보과 2015-09-01 5371
1624 강제착색.비상품감귤 도매시장서 퇴출 기획정보과 2015-09-01 4431
1623 감귤 발효주 '혼디주' 나왔다 기획정보과 2015-09-01 4794
1622 효돈동 감귤열매솎기 현장교육 기획정보과 2015-08-31 4637
1621 감귤 일번지 남원읍, 감귤 열매솎기 박차 기획정보과 2015-08-28 3863
1620 사설-제주발 대북교류사업기회 놏쳐선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8-27 3814
1619 눈앞 성과만 집착...감귤산업 발전 발목 기획정보과 2015-08-27 4495
1618 감귤보내기 등 대북사업 진전 기대 기획정보과 2015-08-26 3968
1617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해 "한마음 한뜻" 기획정보과 2015-08-25 4491
1616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직수출 재개 기획정보과 2015-08-24 3916
1615 [기고]감귤열매솎기 꼭 실천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8-19 4239
1614 [백록담]국내 시장여건 미반영 감귤혁신 정책 성공할까 기획정보과 2015-08-10 4941
1613 비상품 감귤 제로, 농업인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5-08-07 4537
1612 감귤혁신안 세부실행 구체성 부족 기획정보과 2015-08-06 3818
1611 열린마당-고품질감귤,감미비를 맞춰라 기획정보과 2015-08-05 4712
1610 적정 생산량 하향.고품질화 추진 기획정보과 2015-08-04 405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