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4,030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29 올해산 노지감귤 지역별 생산량 차이 크다? 기획정보과 2015-09-08 4367
1628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53만9천톤 전망 기획정보과 2015-09-08 3576
1627 농협,감귤산업.중도매업 발전 위한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5-09-08 4202
1626 열매솎기한 감귤, 청량음료로 가공 기획정보과 2015-09-02 4441
1625 "선과장 드럼선과기 교체육 높여야 5단계 유통 가능" 기획정보과 2015-09-01 5447
1624 강제착색.비상품감귤 도매시장서 퇴출 기획정보과 2015-09-01 4503
1623 감귤 발효주 '혼디주' 나왔다 기획정보과 2015-09-01 4853
1622 효돈동 감귤열매솎기 현장교육 기획정보과 2015-08-31 4674
1621 감귤 일번지 남원읍, 감귤 열매솎기 박차 기획정보과 2015-08-28 3897
1620 사설-제주발 대북교류사업기회 놏쳐선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8-27 3852
1619 눈앞 성과만 집착...감귤산업 발전 발목 기획정보과 2015-08-27 4555
1618 감귤보내기 등 대북사업 진전 기대 기획정보과 2015-08-26 4008
1617 고품질 감귤 생산 위해 "한마음 한뜻" 기획정보과 2015-08-25 4549
1616 제주감협, 하우스감귤 항공직수출 재개 기획정보과 2015-08-24 3980
1615 [기고]감귤열매솎기 꼭 실천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8-19 4295
1614 [백록담]국내 시장여건 미반영 감귤혁신 정책 성공할까 기획정보과 2015-08-10 5018
1613 비상품 감귤 제로, 농업인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5-08-07 4623
1612 감귤혁신안 세부실행 구체성 부족 기획정보과 2015-08-06 3878
1611 열린마당-고품질감귤,감미비를 맞춰라 기획정보과 2015-08-05 4772
1610 적정 생산량 하향.고품질화 추진 기획정보과 2015-08-04 411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