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좀체 근절되지 않는 비상품감귤 유통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7 13:55:29      ·조회수 : 3,004     

<p></p>
<b><font size="5">좀체 근절되지 않는 비상품감귤 유통</font></b>

<font size="3">제주일보 12/6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이 지난 달 이후 계속 상승세를 이어오고 있는 현상은 분명 반

가운 일이다. 최근에도 10㎏기준 1만 2000원대 안팎을 유지하며 호조를 보이고 있

다.

일부에선 벌써부터 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가 예상된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섣부르고, 오히려 화(禍)를 자초할 위험한 발상이다.

감귤 값 호조를 확실히 뒷받침해야 할 고품질 선별출하, 출하물량조절 그리고 비상

품 차단이 여전히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비상품 유통이 도내·도외 할 것 없이 곳곳에서 기승이다.

보도에 따르면 제주도는 민관 합동으로 지난 11월 30~12월 2일 수도권과 광주 등 도

외 유사시장을 대상으로 비상품 유통실태를 현지 단속한 결과, 모두 9개 업체를 적

발했다.

품질검사를 받지 않거나, 인터넷을 통해 감귤을 판매하면서 비상품을 혼합했다고 한

다. 그나마 이는 한 달에 2~3회 정도하는 단속 결과다.

하지만 도외 재래시장 등을 비롯하여 차량 통행이 빈번한 고속도로변, 사람들이 많

이 오고가는 대도시 길거리 노점상에서의 비상품 판매엔 속수무책이다.

실제로 비상품을 상품인 것처럼, 그 것도 10㎏도 아닌 7.5㎏을 ‘서귀포 조생 한 상자

만원’식으로 판매하는 행위가 버젓이 이뤄지고 있다.

제주산 고품질이란 이미지 실추는 물론이고 가격 추락이 불을 보듯 하다.

분명코 원인 제공은 돈벌이에 혈안인 된 몰지각한 일부 상인들과 이들의 꾐에 빠진

도내 일부 농가들이다.

지금도 상인들은 감귤 주산지를 돌며 비상품 구입에 나서는 있다고 한다.

게다가 눈앞의 조그마한 이익을 챙기려고 이에 가세하는 농가도 있는 판이니 부끄럽



감귤 값 상승과 맞물려 비상품 유통이 더욱 성행할 것이라는 얘기는 바로 이런 연유

에서다. 도대체 어쩌자고 이러는 것인지, 참으로 통탄스럽기 그지없다. 제주감귤을

공멸(共滅)로 이끄는 자해행위인데도 말이다. 농가의 자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당국 또한 단속과정에서 단호히 대처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깊이 새겨들어야 한다.

유통명령 시행 4년째, 그럼에도 비상품 유통이 좀체 근절되지 않음이 그 실증(實證)

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07 기고-감귤 열매솎기 꼭 실천 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7-29 6389
1606 제주 감귤밭서 파티 즐겨볼까..."농업"과 "예술" 눈맞다 기획정보과 2015-07-29 3772
1605 제주감귤정책 안정적 정착 마케팅 전개 기획정보과 2015-07-27 4270
1604 제주농협, 감귤 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5-07-27 3425
1603 사설-감귤정책 제고 농가 공감대속 올인해야 기획정보과 2015-07-24 3557
1602 위기의 제주감귤, 전문가 양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5-07-22 3897
1601 감귤 구조혁신,농민들의 주도적인 의견과 실천의지가 중요 기획정보과 2015-07-22 3036
1600 제주형 감귤 신품종 재배면적 374ha...1.8%불과 기획정보과 2015-07-22 3121
1599 이양호 농진청장, 제주'감귤품종 개발.보급 촉진 방안'토론회 참석 기획정보과 2015-07-21 3180
1598 제주감귤농협 성산지점, 명품감귤 생산 결의 및 부녀회 단합대회 기획정보과 2015-07-21 3334
1597 [사설]감귤위상 제고 모두가 절박하게 나서야 기획정보과 2015-07-17 2833
1596 김우남 위원장, 21일 제주형 감귤 육종 토론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5-07-17 3071
1595 가공용 50/kg 지원 논란 유탄? 감귤조례 개정 '제동' 기획정보과 2015-07-17 3664
1594 지난해산 제주감귤 조수입 6707억원 기획정보과 2015-07-16 3209
1593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제주감귤 위상 무너지나 기획정보과 2015-07-16 2370
1592 기고.. 외국(일본)의 감귤정책 사례에서 우리가 배울점 기획정보과 2015-07-15 3886
1591 새로운 제주 감귤품질 기준으로 감귤가격 하락 우려? 기획정보과 2015-07-15 3179
1590 "감귤부산물 건조시설 도급계약해제 부당" 기획정보과 2015-07-13 3023
1589 제주시농협,감귤미국수출농가 교육 기획정보과 2015-07-13 3306
1588 감귤정책 놓고 도-의회 날선 공방 기획정보과 2015-07-09 416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