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저축은 못해도 오붓하게 살아요"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3-25 09:43:41      ·조회수 : 3,155     

"저축은 못해도 오붓하게 살아요"
소비자 직거래 감귤농장 운영… 제주생활 가장 큰 매력 '마음의 여유'

"제주 생활의 가장 큰 매력은 시간에 쫓기지 않고 마음에 여유를 갖고 살 수 있다는 점이죠."

테마가 있는 뉴스Why뉴스최승진 포인트 뉴스고위 공직자 장부 열어보니…10명 중 7명 재산 증가'옛그림에 흠뻑 빠진 요즘 사람들' 연극 '갈매기', 송승환·김금지 등 열연성정열(41) 씨 가족을 만난 것은 지난 16일 제주 올레 14-1 코스 가운데 청수곶자왈을 빠져나온 직후였다.

날은 저물었고 목적지까지는 아직 1시간 이상 더 걸어가야 했다. 대중교통도 지나지 않는 외진 마을이어서 난감했다.

마침 시내로 가족 외출을 하려다 사정을 들은 성 씨는 흔쾌히 차로 목적지인 무릉2리까지 데려다 주겠다고 했다.

성 씨 가족이 직장이 있던 서울을 떠나 제주에 정착한 지는 6년이 됐다고 한다. 감귤 농사를 짓고 수확한 감귤을 소비자와 직거래하며 생활을 꾸려나간다고 했다.

그는 "아직 저축할 정도는 아니지만, 가족끼리 함께 오붓한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어 만족한다"고 말했다.

"아내는 연애 시절부터 제주를 무척 좋아해 이곳에 정착하는데 부부 사이에 갈등은 없었습니다. 하나뿐인 딸아이도 시골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어요. 지금 초등학교 3학년인데 같은 학년이 모두 6명뿐입니다. 그러니 학교에서도 선생님, 친구들과 가족같이 지내는 셈이죠. 요즘엔 방과 후 학습으로 '골프'도 배우고 있답니다."

도시민이 제주에서 농사를 지으면서 정착하려면 어느 정도 자금이 필요할 지 궁금했다.

"최소 2억 원은 필요할 겁니다. 농사를 지으려면 자기 밭이 적어도 1000평 이상은 있어야 하는데 가장 싼 밭도 평당 10만 원 안팎은 하거든요. 어쨌든 집도 구해야 할 테고…그러다 보면 2억 원은 있어야지 그렇지 않으면 굉장히 고생할 거에요."

성정열 씨는 제주향이네귤나라(www.제주향이네.com)라는 감귤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소비자에게 보내는 감귤의 신선도를 높이기 위해 주문을 받은 만큼만 나무에서 딴다"고 말했다.

예쁜 집 앞에서 활짝 웃으며 사진 포즈를 취하는 가족의 모습은 행복해 보였다.

"저축은 못해도 오붓하게 살아요"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09 사설-통합브랜드"귤로장생'이후가 중요하다 기획정보과 2015-08-04 4567
1608 통합감귤 브랜드 "귤로장생" 기획정보과 2015-08-03 4942
1607 기고-감귤 열매솎기 꼭 실천 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7-29 6816
1606 제주 감귤밭서 파티 즐겨볼까..."농업"과 "예술" 눈맞다 기획정보과 2015-07-29 4168
1605 제주감귤정책 안정적 정착 마케팅 전개 기획정보과 2015-07-27 4686
1604 제주농협, 감귤 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5-07-27 3932
1603 사설-감귤정책 제고 농가 공감대속 올인해야 기획정보과 2015-07-24 3968
1602 위기의 제주감귤, 전문가 양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5-07-22 4322
1601 감귤 구조혁신,농민들의 주도적인 의견과 실천의지가 중요 기획정보과 2015-07-22 3406
1600 제주형 감귤 신품종 재배면적 374ha...1.8%불과 기획정보과 2015-07-22 3471
1599 이양호 농진청장, 제주'감귤품종 개발.보급 촉진 방안'토론회 참석 기획정보과 2015-07-21 3479
1598 제주감귤농협 성산지점, 명품감귤 생산 결의 및 부녀회 단합대회 기획정보과 2015-07-21 3563
1597 [사설]감귤위상 제고 모두가 절박하게 나서야 기획정보과 2015-07-17 3282
1596 김우남 위원장, 21일 제주형 감귤 육종 토론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5-07-17 3662
1595 가공용 50/kg 지원 논란 유탄? 감귤조례 개정 '제동' 기획정보과 2015-07-17 3983
1594 지난해산 제주감귤 조수입 6707억원 기획정보과 2015-07-16 3485
1593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제주감귤 위상 무너지나 기획정보과 2015-07-16 2684
1592 기고.. 외국(일본)의 감귤정책 사례에서 우리가 배울점 기획정보과 2015-07-15 4244
1591 새로운 제주 감귤품질 기준으로 감귤가격 하락 우려? 기획정보과 2015-07-15 3555
1590 "감귤부산물 건조시설 도급계약해제 부당" 기획정보과 2015-07-13 336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