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은 국민과일...1인당 소비량 꾸준한 안정세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10 13:30:50      ·조회수 : 3,756     

우리나라 국민들이 1년간 먹는 감귤 소비량이 2000년대 들어 꾸준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어 가격 호조세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이 내놓은 ‘농업전망 20102-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에 따르면 감귤의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2000년대 들어 13~16kg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감귤 소비량은 사과와 배, 포도 등 다른 과일의 소비량 수준을 크게 웃돌고 있어 ‘국민과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지난해산 감귤 소비량도 해거리 이듬 해에 따른 생산량 증가 등으로 14.1kg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돼 최근 가격 호조세도 소비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지난해 10~12월 실시된 소비자조사 결과에서도 감귤을 구입한 횟수는 10월 ‘월 1회’ 33%, 11월 ‘월 2회’ 36%, 12월 ‘월 3회’ 31% 등으로, 출하 성수기로 접어들면서 구입 빈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감귤 소비량도 10월, 11월인 경우 전년과 비슷했으나 12월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으며 지난 달에도 설 수요로 소비 증가세가 이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감귤 구입 장소로는 대형마트 32%, 재래시장 20%, 대형슈퍼 1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들 장소 이용 이유로는 ‘접근성이 좋아서’ 45%, ‘당도 등 품질이 좋아서’ 21%, ‘가격이 적당해서’ 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귤 1인당 소비량의 중장기 전망에서는 생산량 증가에 따라 오는 2017년까지 13.6kg 수준을 유지한 후 오렌지 수입량 증가에 따라 2022년에는 13.2kg으로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또 올해 감귤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2% 감소한 2만1000ha 규모로 전망됐다. 노지온주와 월동온주, 가온 하우스온주 재배면적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 반면 무가온 하우스온주와 만감류 재배면적은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문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02-3299-4352.
< 제주일보 김태형 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609 사설-통합브랜드"귤로장생'이후가 중요하다 기획정보과 2015-08-04 4546
1608 통합감귤 브랜드 "귤로장생" 기획정보과 2015-08-03 4921
1607 기고-감귤 열매솎기 꼭 실천 합시다.. 기획정보과 2015-07-29 6801
1606 제주 감귤밭서 파티 즐겨볼까..."농업"과 "예술" 눈맞다 기획정보과 2015-07-29 4136
1605 제주감귤정책 안정적 정착 마케팅 전개 기획정보과 2015-07-27 4670
1604 제주농협, 감귤 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5-07-27 3907
1603 사설-감귤정책 제고 농가 공감대속 올인해야 기획정보과 2015-07-24 3947
1602 위기의 제주감귤, 전문가 양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5-07-22 4308
1601 감귤 구조혁신,농민들의 주도적인 의견과 실천의지가 중요 기획정보과 2015-07-22 3384
1600 제주형 감귤 신품종 재배면적 374ha...1.8%불과 기획정보과 2015-07-22 3455
1599 이양호 농진청장, 제주'감귤품종 개발.보급 촉진 방안'토론회 참석 기획정보과 2015-07-21 3459
1598 제주감귤농협 성산지점, 명품감귤 생산 결의 및 부녀회 단합대회 기획정보과 2015-07-21 3543
1597 [사설]감귤위상 제고 모두가 절박하게 나서야 기획정보과 2015-07-17 3251
1596 김우남 위원장, 21일 제주형 감귤 육종 토론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5-07-17 3646
1595 가공용 50/kg 지원 논란 유탄? 감귤조례 개정 '제동' 기획정보과 2015-07-17 3974
1594 지난해산 제주감귤 조수입 6707억원 기획정보과 2015-07-16 3465
1593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제주감귤 위상 무너지나 기획정보과 2015-07-16 2673
1592 기고.. 외국(일본)의 감귤정책 사례에서 우리가 배울점 기획정보과 2015-07-15 4220
1591 새로운 제주 감귤품질 기준으로 감귤가격 하락 우려? 기획정보과 2015-07-15 3542
1590 "감귤부산물 건조시설 도급계약해제 부당" 기획정보과 2015-07-13 334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