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지리적표시제 ’미적미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0 10:02:56      ·조회수 : 3,164     

<p></p>
<b><font size="5">감귤 지리적표시제 ’미적미적’</b></font>
<font size="4" color="#857375">
서귀포시, ‘서귀포감귤’ 등록 포기 논란

“시·군 통합으로 차별화 어려워” 주장

道당국도 등록 필요성에 회의적 시각</font>
<font size="3">한라일보 10/10 위영석 기자<p></p>
 특정지역의 농산물을 브랜드화하는 ‘지리적 표시제’를 감귤에는 도입이 불가능할

까. 서귀포시가 ‘서귀포감귤’의 지리적 표시제 등록을 포기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서귀포시는 9일 서귀포지역에서 생산되는 감귤의 브랜드화를 위해 ‘서귀포감귤’

에 대한 지리적 표시제를 추진해왔으나 서귀포시가 남제주군과 통합되면서 서귀포

감귤에 대한 차별화를 기할 수 없어 지리적 표시제 등록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

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당산비 등에서 차별화된 서귀포감귤의 브랜드화를 위해 지리

적 표시제를 추진해왔으나 행정적으로 서귀포라는 지명이 성산포와 대정까지를 포

함하기 때문에 이 지역 생산자나 가공업자의 이의 제기가 잇따를 것으로 보여 추진

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제주자치도도 감귤의 지리적 표시제 등록이 쉽지 않다며 미적거리고 있다.

 제주자치도 관계자는 “지리적 표시제의 경우 다른 지역과 비교되는 품목이어야

하는데 감귤은 대부분 제주산이기 때문에 필요성이 많지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도내에서도 감귤 품목의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농가

합의 등을 통해 지리적 표시 대상지역의 범위와 자체품질 기준 등을 바탕으로 지리

적 표시제 도입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제주지원 관계자도 “분명히 감귤의 경우 산남과 산북지역

의 품질이 차이가 있는 만큼 ‘서귀포 감귤’의 지리적 표시 등록은 가능하다”고 말했

다.

 특히 서귀포지역 감귤은 이미 소비자에게 상당한 품질인증 효과를 갖고 있고 지리

적 표시만으로도 산북지역 감귤과 품질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제

주도차원에서 불가능하다면 서귀포시 차원에서라도 지리적 표시제 등록작업은 계

속 추진되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89 제주시농협,감귤미국수출농가 교육 기획정보과 2015-07-13 3741
1588 감귤정책 놓고 도-의회 날선 공방 기획정보과 2015-07-09 4514
1587 도-의회 감귤구조 혁신안 '설전' 기획정보과 2015-07-09 3361
1586 제주도청 국장, 감귤정책 규탄 발언에 전문위원에... 기획정보과 2015-07-07 3349
1585 시장 개방 제주감귤 이중고 심화 기획정보과 2015-07-07 3869
1584 고품질 생산농가에 최저가격 보장을 기획정보과 2015-07-07 3465
1583 명품 감귤로 완성한 인생2막 기획정보과 2015-07-02 3973
1582 하귀농협, 타이벡감귤 재배기술 교육 기획정보과 2015-06-17 4325
1581 제주감협, 명품감귤 생산 감귤원 현장 영농교육실시 기획정보과 2015-06-17 4476
1580 미숙감귤의 화려한 변신"미오제주"세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15-06-12 4182
1579 감귤생과,가공식품 수출 확대 "표류" 기획정보과 2015-06-12 4199
1578 제주감귤적극적 대응만이 살길이다. 기획정보과 2015-06-11 3165
1577 "감귤 구조혁신"공방..."시장대응"VS"일방적 정책" 기획정보과 2015-06-03 3594
1576 올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할 듯 기획정보과 2015-06-03 5080
1575 창조농업.6차산업 부르짖어도 가치 원천은 "땅" 기획정보과 2015-06-02 4079
1574 실패한 감귤정책 결국 농가만 떠안나 기획정보과 2015-06-01 4386
1573 "감귤' 언제까지 "젖먹이 노릇"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5-06-01 4945
1572 올해 노지감귤 50만-53만6천톤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5-05-29 3905
1571 감귤구조혁신방침"한발빼는 원" 기획정보과 2015-05-28 3873
1570 제주 감귤.청도 홍시 재배 농가와 상생 앞장 기획정보과 2015-05-27 367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