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협상품목 제외’ 최대 기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30 10:27:06      ·조회수 : 2,571     

<p></p>
<font size="5"><b>감귤 ‘협상품목 제외’ 최대 기로 </b></font>

<font size="4" color="blue">김美 “예외없는 관세 철폐”…내달 수정개방안 교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30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4차 제주 협상에서 끝내 ‘협상품목 제외’ 지위를 인정받지

못한 감귤류 향방이 최대 기로에 놓이게 됐다.

12월 예정된 5차 협상을 앞두고 다음달 중 농산물 품목별 민감도 순위에 따라 정부

의 수정 개방안이 짜여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제주 협상에서 농산물 분야는 한미 양국간 개방 폭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는

못했으나 우리측 농산물 보호 가이드라인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농업계를 긴장시키

고 있다.

정부는 당초 전체 1531개 농산물 품목 가운데 감귤 등 284개 품목을 관세철폐 대상

에서 제외하는 ‘기타 품목’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미국의 개방 압력으로 이번 제주 협상에서 기타 품목은 최대 100여개 줄어

든 170여개로 수정됐으나 미국 측이 이마저 거부하면서 협상에 난항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측은 공산품 분야에서 1000여개 품목을 즉시 관세 철폐로 포함하는 수정안을

제시하면서 농산물 개방을 강도높게 압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미국측이 여전히 ‘예외없는 농산물 개방’ 입장을 고수하는데다 공산품·섬유

분야 협상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할 때 5차 협상에서도 농산물 추가 개방이 불가피

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미 양측은 12월초 미국에서 열리는 5차 협상 이전에 분야별 관세 양

허안(개방안)을 수정, 교환한다는 방침이다.

이로볼때 다음달 중 민감품목 우선순위에 따라 개방 폭을 넓힌 정부의 농산물 수정

안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 감귤류의 ‘협상품목 제외’ 지위 여부도 최대 기로에 놓이

게 됐다.

여기에 이번 제주 협상에서 원칙적으로 합의된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와 저율관세할당(TRQ) 등의 품목별 적용 여부와 만다린·농축액 등 감귤류의 관세

철폐 대상 포함 여부 등이 또다른 변수로 부각되고 있어 감귤류 지위를 최대한 확보

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해지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89 제주시농협,감귤미국수출농가 교육 기획정보과 2015-07-13 3773
1588 감귤정책 놓고 도-의회 날선 공방 기획정보과 2015-07-09 4537
1587 도-의회 감귤구조 혁신안 '설전' 기획정보과 2015-07-09 3385
1586 제주도청 국장, 감귤정책 규탄 발언에 전문위원에... 기획정보과 2015-07-07 3361
1585 시장 개방 제주감귤 이중고 심화 기획정보과 2015-07-07 3888
1584 고품질 생산농가에 최저가격 보장을 기획정보과 2015-07-07 3477
1583 명품 감귤로 완성한 인생2막 기획정보과 2015-07-02 3980
1582 하귀농협, 타이벡감귤 재배기술 교육 기획정보과 2015-06-17 4341
1581 제주감협, 명품감귤 생산 감귤원 현장 영농교육실시 기획정보과 2015-06-17 4506
1580 미숙감귤의 화려한 변신"미오제주"세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15-06-12 4201
1579 감귤생과,가공식품 수출 확대 "표류" 기획정보과 2015-06-12 4211
1578 제주감귤적극적 대응만이 살길이다. 기획정보과 2015-06-11 3172
1577 "감귤 구조혁신"공방..."시장대응"VS"일방적 정책" 기획정보과 2015-06-03 3607
1576 올 제주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할 듯 기획정보과 2015-06-03 5097
1575 창조농업.6차산업 부르짖어도 가치 원천은 "땅" 기획정보과 2015-06-02 4089
1574 실패한 감귤정책 결국 농가만 떠안나 기획정보과 2015-06-01 4405
1573 "감귤' 언제까지 "젖먹이 노릇"할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5-06-01 4961
1572 올해 노지감귤 50만-53만6천톤 생산 전망 기획정보과 2015-05-29 3919
1571 감귤구조혁신방침"한발빼는 원" 기획정보과 2015-05-28 3887
1570 제주 감귤.청도 홍시 재배 농가와 상생 앞장 기획정보과 2015-05-27 369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