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명품 한라봉" 이젠 가공용으로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19 10:11:49      ·조회수 : 3,284     

"명품 한라봉" 이젠 가공용으로
제민일보 2006년 5월18일 고미기자

계속된 가격 불안으로 한라봉이 가공용 수매에 들어가는 등 ‘명품’이미지 유지를 위한 특단의 조치에 들어갔다.

소과·부피과 등 비상품을 대상으로 한 가공용 수매가는 ㎏당 1000원. 주요 도매시장 최저가가 3㎏기준 3900원인 점을 감안한다면 높지 않은 가격이지만 비상품 시장 격리를 통한 이미지 회복에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경락가격과 달리 상자·운송비 등을 뺀 농가 수취가가 1㎏당 900원 선까지 떨어지면서 일부러 가공용을 선택하는 농가도 적지 않다.

가공용 수매에 들어간 ㈜일해의 목표량은 500t. 19일 현재 362t이 처리되면서 시제품 개발 등을 위한 물량 확보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역농협 중에서는 남원농협이 111t을 가공용 수매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감귤농협도 서귀 80t 등 지금까지 157t을 가공용으로 넘겼다.

이번 가공용 수매는 한라봉 이미지 회복을 위한 농가들의 자구책. 제주도 등 행정에서 아무런 관여를 하지 않는 등 농가의 자발적 동참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17일 현재 주요 도매시장에서의 한라봉 평균 경락가격은 9000원. 지난해 같은 기간 1만3200원에 비해 4000원 이상 떨어졌다. 최고가 역시 2만원 수준에 그치면서 지난해 동기 2만5000원과 비교해 5000원 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최저가는 3900원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노지 감귤 처리로 탄력을 기대했던 한라봉 가격은 그러나 하우스감귤 출하가 본격화되고 상대적으로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1만원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출하량(17일 기준, 2004년산 601.4t·2005년산 522.7t)은 80t가까이 줄었지만 평균 가격은 8665원으로 전년 동기 1만2475원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이와 관련 한 농가 관계자는 “상품으로 내놔도 되겠다는 얘기도 하지만 조금만 품질이 떨어져도 반품이 되는 등 소비시장에의 반응이 차갑다”며 “더이상 소비자들이 외면한다면 한라봉 농사를 포기해야 한다는 심정으로 가공용 수매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3994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4039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907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648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945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855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558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808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393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476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805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873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192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145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664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838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4183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923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722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59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