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산 감귤 타격 심할 듯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02 10:21:49      ·조회수 : 3,572     

제주산 감귤 타격 심할 듯
6월부터 국내시장 진입...6개국 수입공세 예상
제민일보 6/2 하주홍 기자
칠레산 오렌지가 수입돼 제주산 감귤에 엄청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농림부는‘수입금지식물 수입금지 제외기준 개정안’을 고시, 칠레산 생과실 수입을 허용키로 결정했다.

따라서 6월에 수확을 시작하는 칠레산 오렌지는 곧바로 국내시장에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당장 제주 하우스감귤 판매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감귤 수입국이 미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남아프리카공화국·스페인에 이어 칠레까지 6개국으로 늘어 집중적인 수입 공세가 뻔하기 때문이다.
오렌지 수입량은 지난해 전체 12만8181t 가운데 97.6%인 12만5137t이 부산항으로 들어왔다.

올 들어도 지난 3월부터 오는 8월까지 수입량이 쏟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2004년 4월 이후 칠레산 과일 가운데 포도와 키위, 레몬의 수입만 허용해 왔다.

농림부에 따르면 식물방역법 제7조와 시행규칙 제9조1항에 따라‘수입금지 식물중 칠레산 오렌지 및 레몬 생과실의 수입금지 제외기준’을 제정, 지난 5월2일 공고했다.

이어 농림부는 칠레산 수입오렌지 병해충특별관리방안 조건과 국내 과수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 전격 수입을 허용키로 했다.

농림부는 이미 지난 2월 27일 호주산 오렌지 및 레몬 생과일 수입금지 제외를 내용으로 하는 식물방역법을 개정, 오스트레일리아산 오렌지도 수입 허용했다.
이와 관련 고성보 박사는“한·미FTA가 체결돼 관세가 완전 철폐되면 오렌지 수입으로 앞으로 10년간 피해액은 1조원을 훨씬 넘을 것”이란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게다가 칠레산 오렌지마저 수입되면 그 피해액은 엄청나게 불어날 게 뻔해 제주 감귤산업의 기반마저 흔들릴 우려가 높아 이에 따른 철저한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3960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4014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874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620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912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819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529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780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359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450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778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845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161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113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637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803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4149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892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691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57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