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고]싱거운 하우스 감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21 10:53:15      ·조회수 : 3,182     

[기고]싱거운 하우스 감귤
제민일보 8/20 <김상호 도민기자>
입원한 아내가 감귤이 먹고 싶다고 했다. 대형할인마트에서 하우스감귤을 구입하여 맛을 보았다. 싱겁기만 하고, 꼭지는 누렇게 죽어있었다. 다시 사먹고 싶은 마음이 감쪽같이 사라져버렸다. 덜 익은 감귤을 농가에서 사 들여 강제 착색하여 출하한 것이다.
금년엔 장마가 평년보다 오래 지속된 데다가 폭우의 피해로 감귤 이외의 과일시장이 공급이 딸리는 모양이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니까 가격이 오르고 상인들은 돈을 벌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이때다 싶어 덜익은 하우스감귤을 농민으로부터 매입하여 강제착색을 시킨 후 시장에 출하하고 있는 것 같다. FTA 체결 시 감귤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볼 게 확실한 상황에서 개인의 이익만을 달성하기 위하여 덜익은 감귤을 강제 착색하여 출하하는 것은 감귤의 품질을 떨어뜨려 제주감귤의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악덕행위이다. 노지감귤을 재배하는 농민의 한 사람으로서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품질이 떨어진 감귤이 시장에 나가면 궁극적으론 제주 도민 모두에게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자신만의 이익을 위하여 남이야 죽든 말든 편법을 자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웃나라만 해도 고지식할 정도로 기본을 잘 지킨다고 하는데, 왜 우리는 매년 법과 원칙을 잘 이행하지 못하는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걸까. 자괴감마저 든다.
품질이 떨어지면 소비가 감소하고, 수요가 적어지면 가격이 하락하는 것이 시장의 원리이다. 품질향상만이 제주감귤이 살 길인 것이다. 남이야 어떻게 되든 자기만 살겠다는 이기주의의 행위는 손해를 보도록 하고, 원칙과 규정을 준수하는 정직한 사람은 이득을 보게 해야 이러한 불법행위를 근원적으로 근절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와는 정반대의 현실이 제주감귤의 경쟁력을 갈수록 추락시키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 생산자단체와 행정당국 등이 지혜를 모아 이러한 불법유통행위가 불이익이 되도록 제도와 환경을 개선하고, 대형할인마트나 농산물 유통시장에서도 강제 착색한 감귤을 생산자나 해당상인에게 반려하는 제도를 강력히 실천에 옮겨야 할 시점이 아닐까 싶다.
FTA에 대비해서라도 우리 모두가 바싹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안 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4045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4091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948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690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978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884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599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856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448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526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851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929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229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190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696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883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4218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967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769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64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