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25 08:59:22      ·조회수 : 4,099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지지파이프는 2m 간격으로 설치하는게 바람직

노지감귤 태풍 피해를 막기 위한 파풍망의 적정규격이 구명됐다.

원예연구소 시설원예시험장과 난지농업연구소에 따르면 태풍 피해가 잦은 제주지역의 노지감귤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농업인들이 파풍망을 설치하고 있으나 안전성 분석 없이 시공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시공비용을 가장 적게 들이면서 안전하게 파풍망을 지을 수 있도록 파이프 등의 규격을 시험한 결과 파풍망 높이를 3m로 할 때 주기둥은 φ48.1× 2.9㎜로 2m, 가로대는 φ15.9×1.2㎜짜리 4개, 지지파이프는 φ19.1×1.2㎜로 2m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풍망의 그물눈(메시)은 4㎜짜리 한겹이면 충분했다. 4㎜짜리를 두겹으로 설치하거나 2㎜짜리를 사용할 경우 바람막이 효과는 훨씬 커지나 바람의 압력은 그만큼 증가해 파이프 규격을 크게 강화해야 한다. 파이프에 고정된 파풍망이 강한 바람에 찢어지거나 이탈되면 바람막이 효과가 떨어지므로 파풍망 이음매에 주의해야 한다.

태풍이 닥쳤을 때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토양 지지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주기둥과 지지파이프는 서로 기초를 달리해서 시공하고 제일 아래쪽 가로대에 철근을 주기둥 2개 간격인 4m마다 고정시키고 120㎝ 깊이로 묻어 지지력을 높인다.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파풍망은 지지파이프를 주기둥 2~3개 간격인 6~8m 간격으로 설치하는데 초속 50m의 바람에도 쓰러지므로 주기둥 1개 간격인 2m 마다 지지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풍망을 높게 설치할 때는 바람막이 면적이 클수록 풍압도 증가하므로 규격을 강화해 적정 파이프 이상을 시공해야 한다. 지지파이프의 고정 높이가 달라지면 적정 파이프 규격을 사용해도 불안정해지므로 설치도에 따라 시공토록 하되 지지파이프의 수평거리는 넓혀도 된다. 시설원예시험장 ☎051-602-2153, 난지농업연구소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4063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4111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960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705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3995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904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616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890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467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543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855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963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250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219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711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908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4239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3979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788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6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