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4,026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9 통영 앞바다 욕지도에 감귤 묘목 공급 기획정보과 2015-05-26 4075
1568 감귤산업의 현실과 당랑규선의 의미 기획정보과 2015-05-26 4141
1567 "감귤구조 혁신방안 여른수렵 더해야" 기획정보과 2015-05-22 3992
1566 제주,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지속...농민반발 풀릴 듯 기획정보과 2015-05-21 3742
1565 대통령 공약 감귤명품화 말로만 기획정보과 2015-05-20 4040
1564 기고,, 감귤정책 혁신의 종착역은 결국 농가소득창출 기획정보과 2015-05-19 3940
1563 한농연,"감귤정책 추진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641
1562 "감귤구조혁신 추진 계획 전면 재수정하라" 기획정보과 2015-05-18 3901
1561 "제주도는 감귤구조혁신 정책 추진 계획을 전면 재수정하가" 기획정보과 2015-05-18 3480
1560 비상품감귤 원천 봉쇄"농가 의식 바꿔야" 기획정보과 2015-05-15 3586
1559 "감귤산업 '선 자구.후 지원'혁신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5 4871
1558 감귤데이 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3981
1557 가격하락에도 감귤운송비 상승...농가'부담' 기획정보과 2015-05-12 4276
1556 [농업관측]과일(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237
1555 [농업관측]과채(2015년 5월) 기획정보과 2015-05-11 3747
1554 제주농협, 감귤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3934
1553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16일 "아트콘서트" 기획정보과 2015-05-07 4274
1552 올해 노지감귤 얼마나 열릴까 기획정보과 2015-05-06 4010
1551 노지감귤생산량 조사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5-05-06 3816
1550 제주도 감귤과수원 간벌 400ha 달성 기획정보과 2015-05-04 369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