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걷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16 09:14:05      ·조회수 : 3,417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걷다

<현장> 추사유배길 2코스 인연의 길을 걸으며

추사를 만나러 가는 길은 너무도 짧았다.

제주시에서 출발해 대정읍에 있는 제주추사관을 불과 30분만에 도착하고 나서야 새삼 떠올랐다. 지금은 관광도로가 된 이 길이 추사의 유배길에 시작이란 걸. 고고한 사대부 양반, 추사 김정희가 화북포구를 통해 제주목에 닿은 뒤 다시 대정골로 향할 때 이 길을 이용했었다.

유배인 신세로 제주에 온 그의 마음은 천근만근 무거웠을 거다. 그 무거운 마음을 이끌고 다시 90리 길을 움직여야 했던 고행 길을 후딱 반시간만에 통과해버린 거다.

당시 제주목에서 대정골로 가는 길은 추사 김정희가 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어렴풋 하게나마 그려볼 수 있다.

“대정으로 가는 길의 절반은 순전히 돌길이어서 인마가 발을 붙이기 어려웠다. 또 밀림의 그늘 속으로 가게 되어 하늘빛이 겨우 실낱만큼이나 통하였다”

추사의 8년 3개월간 제주유배생활은 그렇게 시작됐다.

# 그의 8년 3개월 제주 삶이 ‘길’에서 되살아났다

나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제주추사관에 모여들었다. 이들은 추사가 대정골에 유배된지 170년이 지난 오늘날 자진해서 유배 당하겠다며 모인 사람들이다. 추사의 자취를 따라 걷는 ‘추사유배길’이 14일 열렸다.

추사유배길은 2010 지식경제부 광역경제권 연계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제주대학교 스토리텔링센터(센터장 양진건 교수)가 개척했다.

지난해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 3단계에 걸쳐 22억원을 들여 제주유배문화의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개발하게 되는데 그 첫 발을 내딛은 게 ‘추사 유배길’이다.

총 3개 코스가 한 번에 개방됐다. 1코스 ‘집념의 길’, 2코스 ‘인연의 길’, 3코스 ‘사색의 길’ 이다. 제주추사관과 추사유배지를 둘러 싼 돌담길을 따라 북쪽으로 난 2코스 ‘인연의 길’을 걷기로 했다.

#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걸었다

대정은 척박한 곳으로 유명하다. 땅이 거칠고 바람이 거세기 때문이다. 무거운 죄를 진 사들이 제주에서도 대정골로 유배를 오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았을 터다.

인연의 길은 제주추사관에서 시작한다. 추사의 기념품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추사가 제주에서 완성했던 불멸의 작품 세한도가 그림 밖으로 튕겨져 나온듯 세워져 있다. 지하 1층 지상 1층으로 돼 있다. 원근법과 맞지 않아 유명한 그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365일 크기와 모양을 달리해 집 지은 이의 재치를 엿볼 수 있다.

그 뒤쪽으론 추사가 두 번째로 머물렀다던 강도순의 집이 되살려져 있다. 안거리와 밖거리,로 돼 있고 추사가 보고 신기해 했다던 말방아가 한켠에 있다. 아예 말방아에 대한 시를 짓기도 했다. ‘열 사람이 할 것을 말이 혼자 돌리니...선종이 공연히 애쓰는 게 우습기만 하구나’

길은 곧 농로로 이어진다. 양 옆으로 대정이 자랑하는 마늘밭이 가득이다. 마늘밭은 감귤밭으로 이어진다. 추사는 제주감귤을 무척 좋아했던 모양이다. 자신이 살던 곳을 ‘귤중옥’이라 표현했을 정도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귤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과일로만 보던 귤을 나무채 보았으니 신기할 법도 하다.


문화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걷다

<현장> 추사유배길 2코스 인연의 길을 걸으며



데스크승인 2011.05.15 09:29:30 이미리 기자 | emiriism@gmail.com




▲ 추사가 기거했던 유배지 담장 밖으로 사람들이 걸어가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추사를 만나러 가는 길은 너무도 짧았다.

제주시에서 출발해 대정읍에 있는 제주추사관을 불과 30분만에 도착하고 나서야 새삼 떠올랐다. 지금은 관광도로가 된 이 길이 추사의 유배길에 시작이란 걸. 고고한 사대부 양반, 추사 김정희가 화북포구를 통해 제주목에 닿은 뒤 다시 대정골로 향할 때 이 길을 이용했었다.

유배인 신세로 제주에 온 그의 마음은 천근만근 무거웠을 거다. 그 무거운 마음을 이끌고 다시 90리 길을 움직여야 했던 고행 길을 후딱 반시간만에 통과해버린 거다.

당시 제주목에서 대정골로 가는 길은 추사 김정희가 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어렴풋 하게나마 그려볼 수 있다.

“대정으로 가는 길의 절반은 순전히 돌길이어서 인마가 발을 붙이기 어려웠다. 또 밀림의 그늘 속으로 가게 되어 하늘빛이 겨우 실낱만큼이나 통하였다”

추사의 8년 3개월간 제주유배생활은 그렇게 시작됐다.


▲ 제주추사관을 시작점으로 1코스와 2코스가 갈린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추사 유배길 개장에 맞춰 단장한 듯한 창고시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그의 8년 3개월 제주 삶이 ‘길’에서 되살아났다

나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제주추사관에 모여들었다. 이들은 추사가 대정골에 유배된지 170년이 지난 오늘날 자진해서 유배 당하겠다며 모인 사람들이다. 추사의 자취를 따라 걷는 ‘추사유배길’이 14일 열렸다.

추사유배길은 2010 지식경제부 광역경제권 연계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제주대학교 스토리텔링센터(센터장 양진건 교수)가 개척했다.

지난해 7월부터 2013년 4월까지 3단계에 걸쳐 22억원을 들여 제주유배문화의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개발하게 되는데 그 첫 발을 내딛은 게 ‘추사 유배길’이다.

총 3개 코스가 한 번에 개방됐다. 1코스 ‘집념의 길’, 2코스 ‘인연의 길’, 3코스 ‘사색의 길’ 이다. 제주추사관과 추사유배지를 둘러 싼 돌담길을 따라 북쪽으로 난 2코스 ‘인연의 길’을 걷기로 했다.


▲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추사가 살았던 초가 담장 너머로 탐방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걸었다

대정은 척박한 곳으로 유명하다. 땅이 거칠고 바람이 거세기 때문이다. 무거운 죄를 진 사들이 제주에서도 대정골로 유배를 오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았을 터다.

인연의 길은 제주추사관에서 시작한다. 추사의 기념품들이 모여 있는 곳이다. 추사가 제주에서 완성했던 불멸의 작품 세한도가 그림 밖으로 튕겨져 나온듯 세워져 있다. 지하 1층 지상 1층으로 돼 있다. 원근법과 맞지 않아 유명한 그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365일 크기와 모양을 달리해 집 지은 이의 재치를 엿볼 수 있다.

그 뒤쪽으론 추사가 두 번째로 머물렀다던 강도순의 집이 되살려져 있다. 안거리와 밖거리,로 돼 있고 추사가 보고 신기해 했다던 말방아가 한켠에 있다. 아예 말방아에 대한 시를 짓기도 했다. ‘열 사람이 할 것을 말이 혼자 돌리니...선종이 공연히 애쓰는 게 우습기만 하구나’

길은 곧 농로로 이어진다. 양 옆으로 대정이 자랑하는 마늘밭이 가득이다. 마늘밭은 감귤밭으로 이어진다. 추사는 제주감귤을 무척 좋아했던 모양이다. 자신이 살던 곳을 ‘귤중옥’이라 표현했을 정도다. 집에서 가까운 곳에 귤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과일로만 보던 귤을 나무채 보았으니 신기할 법도 하다.


▲ 추사의 시가 새겨진 돌이 있는 수월이못. ⓒ제주의소리 이미리 기자


농로가 끝나는 곳에서 아스팔트 길을 따라 추사 유배길 이정표를 따라가면 구억리 제주옹기박물관이 나온다. 제주도내 도공들이 기증한 것과 구억리 주민들의 소장품 등을 모아 전시하고 있다. 옹기장이들이 정착해 형성된 마을인 구억리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옹기생산이 활발했다. 보성초등학교 분교를 개조해 제주옹기박물관이 들어선 것도 이유가 있었다.

코스에는 없지만 어딜가나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것이 있다. 대정 어디서나 ‘당산’이 보인다. 박쥐를 닮았다고 해서 주민들은 ‘바굼지오름’이라고도 부른다. 추사 역시 이를 보고 지냈을 것이다. 당산은 오를 수도 있는데, 나무 사이로 제주에선 보기 힘든 시원한 밭들을 볼 수 있다. 추사가 여기 올라 대정 앞 바다를 건너길 바랐을까.

추사가 나에게 말을 걸었다.

“내 70평생에 벼루 열 개를 갈아 닳게 했고 천 자루의 붓을 다 닳게 했네”

추사의 길이 너무도 멀게 다가오는 순간이었다.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걷다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걷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47 [열린광장]'브랜드 감귤대학' 감귤경쟁력의 산실 기획정보과 2015-04-09 4111
1546 [망중한]판매농협 구현을 위한 제언 기획정보과 2015-04-06 3809
1545 '7년 만에 최저치'...감귤값 급락의 경고음 기획정보과 2015-04-02 3484
1544 고품질감귤 생산, 제주 감귤산업을 살리는 원동력 기획정보과 2015-04-01 3429
1543 늪에 빠진 제주 감귤값..감귤농정 헛구호 기획정보과 2015-03-17 3643
1542 사과·배·귤 등 국산과일 인기 갈수록 ‘시들’ 기획정보과 2015-03-16 3949
1541 서귀포시 올해 감귤 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495억원 지원 기획정보과 2015-03-16 3023
1540 고령화시대 농촌노동력도 문제다 기획정보과 2015-03-10 3718
1539 2015년 FTA기금 고품질감귤 생산시설지원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5-03-09 3408
1538 또 감귤대란 "제주농정은 뭐하나" 기획정보과 2015-03-09 4188
1537 [제민포럼]감귤원 기반조성은 생존의 문제 기획정보과 2015-03-06 4139
1536 [기고]"제주감귤, 이제 맛으로 승부해야" 기획정보과 2015-03-06 3392
1535 제주시 감귤 7만3000t 서귀포서 출하 기획정보과 2015-03-05 3342
1534 [사설]제주 감귤 변화 없이는 성공 없다 기획정보과 2015-03-03 3157
1533 5년만에 최저가격 지역경제 악영향 기획정보과 2015-03-02 3016
1532 한라봉 '고급 과일'로 동남아 진출 기획정보과 2015-03-02 3079
1531 노지감귤 가격 곤두박질...2009년 이후 최저 수준 기획정보과 2015-02-24 3320
1530 감귤 농작물재해보험 23일부터 판매 기획정보과 2015-02-23 3121
1529 월요포커스]긴 설연휴 민심 들여다보니 기획정보과 2015-02-23 3242
1528 비상품 감귤 유통 악순환, 언제쯤 끝날까 기획정보과 2015-02-17 354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