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6:14:55      ·조회수 : 2,619     

<p></p>
<font size="5"><b>“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b></font>
<p></p>
<font size="4">감귤 유통명령 ‘발령기간’ 개선 목소리 높다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5 신정익 기자
<p></p>
올해산 노지감귤에 대한 유통명령 발령이 가시화되면서 이에 따른 일정도 급물

살을 타고 있다.

그러나 유통명령 발령 기간을 현재의 1년 단위에서 다년간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농림부 등 정책당국의 전향적인 제도개선 노력이 뒷받침

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4일 감귤유통조절추진위원회(위원장 강희철·서귀포농협조합장) 등에 따르면

농림부는 추석 연휴가 끝나는 오는 10일 오전 10시 30분 농산물유통국장을 위원

장으로 해 15명 이내로 구성되는 유통명령 심사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심사위의

도내 농가대표로는 양민웅씨(감귤경쟁력강화단 고품질분과위원장)가 참석해

유통명령에 대한 생산자들의 의견을 피력하게 된다.

당초 농림부는 오는 17일을 전후해 심사위를 개최키로 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보다 일주일 가량 빠른 오는 10일 심사위를 개최함으로써 공정거래위원회의

협의와 유통명령 발령 등으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일정도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

되고 있다.

그런데 유통명령 심사위 개최를 앞두고 일각에서는 유통명령 발령 기간을 3∼5

년으로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농림부에 유통명령 발령을

요청한 유통조절추진위의 요청서(안)에는 앞으로 3년간 매년 10월 1일부터

다음해 3월 31일까지 발령해 주도록 밝히고 있다.

지난해까지 3차례 도입된 유통명령제는 모두 1년 단위로 발령이 됐기 때문에

매년 유통명령 발령을 요청하기 위해 추진위 구성과 공청회, 설문조사 등에

상당한 시일과 예산이 소요되는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감귤의 생산수급 여건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상황에서 1년단위로

유통명령을 발령하는 것은 유통명령 도입 취지와도 부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미국의 경우 별도로 유통명령 발령 기간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한 번 발령

으로 5년간 지속적인 효력이 발생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프랑스도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유통명령이 존치하는 시스템을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산 노지감귤에 대한 유통명령을 발령할 경우 유통명령제 도입

효과를 살리고 고품질 출하체계가 정착될 수 있도록 발령기간을 3∼5년으로

하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49 한라봉·백향과·참송이 버섯… '농업환경 대응' 새소득 작목 육성 기획정보과 2015-04-10 4073
1548 제주 감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기획정보과 2015-04-09 3549
1547 [열린광장]'브랜드 감귤대학' 감귤경쟁력의 산실 기획정보과 2015-04-09 4450
1546 [망중한]판매농협 구현을 위한 제언 기획정보과 2015-04-06 4108
1545 '7년 만에 최저치'...감귤값 급락의 경고음 기획정보과 2015-04-02 3792
1544 고품질감귤 생산, 제주 감귤산업을 살리는 원동력 기획정보과 2015-04-01 3748
1543 늪에 빠진 제주 감귤값..감귤농정 헛구호 기획정보과 2015-03-17 3969
1542 사과·배·귤 등 국산과일 인기 갈수록 ‘시들’ 기획정보과 2015-03-16 4313
1541 서귀포시 올해 감귤 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495억원 지원 기획정보과 2015-03-16 3357
1540 고령화시대 농촌노동력도 문제다 기획정보과 2015-03-10 3967
1539 2015년 FTA기금 고품질감귤 생산시설지원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5-03-09 3759
1538 또 감귤대란 "제주농정은 뭐하나" 기획정보과 2015-03-09 4616
1537 [제민포럼]감귤원 기반조성은 생존의 문제 기획정보과 2015-03-06 4739
1536 [기고]"제주감귤, 이제 맛으로 승부해야" 기획정보과 2015-03-06 3656
1535 제주시 감귤 7만3000t 서귀포서 출하 기획정보과 2015-03-05 3658
1534 [사설]제주 감귤 변화 없이는 성공 없다 기획정보과 2015-03-03 3464
1533 5년만에 최저가격 지역경제 악영향 기획정보과 2015-03-02 3345
1532 한라봉 '고급 과일'로 동남아 진출 기획정보과 2015-03-02 3407
1531 노지감귤 가격 곤두박질...2009년 이후 최저 수준 기획정보과 2015-02-24 3657
1530 감귤 농작물재해보험 23일부터 판매 기획정보과 2015-02-23 344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